지난해 1인당 GNI, 2만9745달러로 집계돼
1인당 GNI 3만 달러에 근접한 원인은 성장률보다 환율의 영향이 더 커
개선되지 않는 고용·실업율 등, 올해 예상치 못한 변수(경제악화·환율급등) 고려해야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달러에 근접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 확정 및 2017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745달러(약 3천363만6천원)다.

전년도 2만7681달러(약 3천212만4천원)에서 7.5%(원화 기준 4.7%) 증가했다. 1인당 GNI(달러화 기준) 증가율은 2011년(9.6%) 이래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한은의 전망대로라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3%를 달성하고 원화가치 급락이 없다면 1인당 GNI 3만 달러 진입이 확실시된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이는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 25개국만이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는다.

성장률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기도 하는 원/달러 환율은 작년보다 하락하리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원화 강세)할수록 달러화로 환산한 소득이 늘어나기 때문에 1인당 GNI 증가에 도움이 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출 증대를 위해 약(弱) 달러를 선호하고 있고 사이클상으로도 달러가 약세에 접어들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연평균 환율은 달러당 1,130.8원이었으나 블룸버그 통신이 투자은행(IB) 등을 상대로 조사한 환율 전망에서 환율은 올해 3분기 1,125원, 4분기 1,120원으로 차츰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1인당 GNI 3만 달러 달성에는 성장률보다 환율의 영향이 크다"며 "올해 환율은 작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 달성이 유력하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작년 달러로 환산된 1인당 국민총소득의 상승은 성장률보단 환율이 하락한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환율은 1달러당 약 1,200원에서 1,060원대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원화가치의 상승으로 인해 3만불의 고지가 가까워지는 효과를 보인 것이다. 달러기준으로 본다면 1인당 국민총소득은 전년대비 7.5%가 증가했지만 원화 기준으로 본다면 4.7% 증가했기에 그 차이만큼의 착시도 고려해야한다.

1인당 국민총소득의 증가와는 달리 체감 경기와 밀접한 고용 지표는 나아지지 않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은 11.1%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올랐다. 특히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인 9.9%,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는 22.7%로 0.7%포인트나 상승했다. 정부의 급격한 최저임금인상과 최저근로시간단축 정책 등으로 인해 최근 금융권을 비롯한 기업들은 '고용절벽' 이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고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선 예상치 못한 변수로 경제 상황이 나빠지거나 환율이 급등해 1인당 GNI가 뒷걸음질 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번 한미FTA 재협상으로 농축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가가치가 큰 자동차산업을 양보한 것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미국과 중국간의 보복관세 경쟁에 따른 여파도 고려해야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8년 한국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국내 상황이 ‘회복 국면’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하면서도 "다만 수출 경기의 성장 견인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내수의 한 축인 투자가 부진하여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 의구심이 간다. 내수 경기 중 소비는 정부 재정지출 확대와 저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회복세가 지속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설비투자는 반등하고 있지만 주력 산업들의 투자 계획이 많지 않고 과잉생산능력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 반등세가 지속되기는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건설투자는 주택시장 위축, 토목수주 급감, 정부의 규제 정책 등의 영향으로 경기 침체 국면으로 진입되고 있다. 수출은 증가세가 지속되겠지만 품목별로 호조와 둔화가 혼재해 있고, 보호무역주의 강화의 리스크가 상존해 있어 불안한 호조의 모습이 진행 중이다"고 언급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