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월 대비 올해 2월 신규 일자리 증가폭이 크게 감소한 가운데 농림어업과 공무원을 제외한 순수 민간부문 일자리 증가폭이 가장 심각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3일 PenN과 ‘바른사회시민회의’가 공동주최한 학술대회인 ‘제1회 자유지성인대회’에 토론자로 참석한 성신여대 경제학과 박기성 교수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평가하는 자리에서 “작년 2월 대비 올해 2월에 늘어난 순수 민간부문 일자리는 4000개에 불과해 2016년 2월 대비 작년 2월에 늘어난 순수 민간부문 신규 일자리 35만개에 비하면 100분의 1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박 교수는 “농림어업 분야에서 작년 2월 대비 올해 2월에 4만1000개, 공무원이 같은 기간 5만9000명 증가했다”며 “작년보다 10만4000개의 일자리가 늘어나는데 그친 것도 문제지만 순수 민간부문에 있는 기업이 만든 신규 일자리가 4000개에 불과한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에 함께했던 이병태 KAIST 경영대학 교수 역시 박 교수의 주장에 대해 동의했다. 이 교수는 토론회가 끝나고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이 완전 고갈됐다”며 “작년 2월 대비 올해 2월 새롭게 생긴 10만4000개의 일자리 역시 2016년 2월 대비 작년 2월에 생긴 새로운 일자리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심각한 상황인데 순수 민간부문의 고용은 4000개에 불과했다는 박 교수의 연구결과는 충격적이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농림어업과 공무원을 제외한 민간부문 일자리는 4000개가 늘어났고 이는 2016년 2월 대비 작년 2월에 늘어났던 민간부문 일자리 35만개에 비하면 100분의 1 수준으로 사실상 소멸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림어업 분야의 일자리 증가는 제조업 분야에서 구조조정으로 해고된 근로자가 당장 갈 곳이 없어 귀향해 잠시 머무르는 사실상의 실업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에 늘어난 일자리는 사실상 정부가 재원을 동원해 창출한 공무원 뿐이다.

2013년 2월 대비 2014년 2월에는 민간부문 일자리가 85만개였고 2014년 2월 대비 2015년 2월에 늘어난 민간부문 일자리는 51만개였다. 조금씩 민간부문에서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는 맞지만 4000개로 줄어든 것은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