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 의원실 한국감정원 3년치 시세현황 분석 결과
6억 이하 아파트 흔했는데 이젠 찾아보기 어려워...9억 이상은 두 배 이상 늘었다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값 고공행진이 누적된 결과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지고, 9억원이 넘는 아파트는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한국감정원(2017년 5월~2020년 6월)의 3년간 서울 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문 대통령 취임월인 2017년 5월 서울의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67.3%였으나 3년 뒤인 2020년 6월에는 29.4%로 나타났다.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사라진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는 15.7%에서 39.8%로 두 배 이상 늘었다.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 역시 3.9%에서 15.2%로 급증했다. 

'6억 소멸' 현상은 강동구에서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다. 2017년 5월까지만해도 시세 6억 이하 아파트가 74.9%에 달했지만 2020년 6월 8.9%로 급락했다.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급증했다. 강동구 내 10집 중 7집이 6억원 아래였지만 이제는 절반이 9억대가 된 것이다.

성북, 동대문, 서대문 등 강북의 여러 구에서도 문제는 심각했다. 대부분 아파트가 6억원 이하였지만 이젠 그런 매물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졌다. 성북구는 97.0%에서 33.6%로,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서대문구는 88.6%에서 26.5%로 감소했다. 9억 초과 아파트는 0~0.3%에서 11.3%, 20.9%, 26.0%로 늘어났다.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등의 인기 지역일수록 9억 초과 아파트 비중이 급증했다. 단 3년 만에 한자릿 수에 불과했던 9억 초과 아파트 비중이 50~60%를 상회했다.

고가 주택이 많았던 강남지역은 15억 초고가 아파트가 크게 늘어났다. 강남구는 73.5%, 서초구는 67.2%, 송파구는 43.1%로 늘어났다. 앞의 두 지역의 15억 초고가 아파트 비중은 20%대 초반이었지만 송파구는 3년 전까지만해도 5.3%에 불과했다.

김상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설익은 부동산 대책이 실수요자의 주거사다리를 걷어차다 못해 수리 불가능 수준으로 망가뜨려 놓았다"고 비판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