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反기업 성향 좌파언론 등에 광고 줄이자 맹비난
기업 '무리하게 조지면서' 뒤로는 광고협찬비 뜯어내는 왜곡된 언론 행태가 비정상이다

삼성이 특정 언론의 광고비를 줄이면 광고집행비로 언론을 통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지난해부터 좌파 진영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제기됐다. 그러나 이같은 비판 논리는 기업의 고유권한과 시장 원리를 무시하고, 자신들에게 광고를 주는 것이 당연하다는 인식아래 이루어지는 다소 잘못된, 뻔뻔한 논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겨레신문은 지난해 탄핵정국 당시 삼성 광고가 축소되고 안 실린 것에 대해서 삼성의 ‘보복 조치’로 규정하며 ‘한겨레신문=정의’, ‘삼성=부당한 권력’ 구도로 피해자를 자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양상우 한겨레 대표이사는 지난해 9월 21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법 처리와 맞물려 삼성이 한겨레 광고를 축소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폭려적 광고 집행”이라 비판했다. 당시 양 대표는 “삼성의 광고 축소는 삼성 관련 보도를 스스로 검열하라는 협박”이라며 “삼성의 광고 편파 집행은 촛불혁명을 이끌어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보도에 대한 응징과 보복 성격도 강하다”고 주장했다.

친여(親與) 좌파 성향 미디어비평지인 미디어오늘도 여러 번에 걸쳐 이같은 논리에 힘을 실으며, 한겨레신문에 삼성 광고가 안 실리면 그 자체만으로 문제삼으며 비판했다. 미디어오늘은 지난 12일에도 <‘장충기 문자’ 다룬 한겨레, 오늘도 삼성 광고 없다>라는 제목의 ‘아침신문 솎아보기’를 내보냈다.

과거 다른 기사에서도 삼성이 2017년 새해 첫 1면 광고 집행에서 한겨레를 제외한 사실과, 이후에도 한겨레에 대한 광고 건수를 축소한 것들을 지적했으며, 삼성 관련 비판 보도에 다른 매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비판에서는, 삼성이 언론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데 삼성 비판 기사를 실었더니 ‘광고로 보복ㆍ탄압ㆍ압박ㆍ길들이기’를 한다는 식의 내용이 포함됐다.

그러면서 삼성을 옹호하는 듯한 기사가 나오면 못마땅한 시선을 여과없이 드러냈다. 지난 2월 집행유예 판결을 받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2심과 관련해서는 다수 언론이 이재용 부회장의 석방에 비판적으로 접근하지 않은 사항을 비판했다.
 

관련 보도

[미디어오늘]
-‘장충기 문자’ 다룬 한겨레, 오늘도 삼성 광고 없다 <2018-03-12>
-누가 한국광고 시장을 통제 하는가 <2018-02-16>
-이재용 등 긁어준 언론인, 삼성은 상을 줬다 <2018-02-14>
-새해 1면 키워드 ‘평창’…한겨레만 없는 삼성광고 <2018-01-01>
-신문에 ‘이건희 차명계좌’는 없지만 ‘삼성 광고’는 있다 <2017-11-29>
-한겨레 삼성광고, 경향신문 절반 수준으로 추락 <2017-09-26>
-한겨레 “삼성 광고 축소, 촛불 혁명 보도에 대한 보복” <2017-09-22>
-삼성과 언론의 ‘검은 유착’, 주류 언론의 수상한 침묵 <2017-08-16>
-삼성광고, 조선·동아에 ‘집중’ 중앙은 ‘하락’ <2017-07-12>
-새해 아침, 삼성·현대 광고로 가득찬 신문들 <2017-01-02>

[기자협회보]
-삼성의 광고 중단과 ‘언론 길들이기’ <2017-10-11>
-한겨레에 삼성전자 광고가 급격하게 줄어든 이유 <2017-09-26>
-“한겨레 광고 축소, 삼성판 블랙리스트 아니냐” <2017-05-01>
-갤럭시 S8 광고는 왜 JTBC에 보이지 않나 <2017-04-25>
-한겨레가 삼성광고 안 실은 진짜 이유는 <2017-01-06>

이외에도 미디어오늘은 올해 1월부터 ‘삼성과 대한민국 미디어’이라는 기획시리즈를 통해 삼성의 미디어통제력에 대해서 연재하고 있다. 편집자는 삼성이 미디어의 최대 권력이라고 단언하기도 했다.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존중하기보다는 오늘날 사회를 일명 ‘삼성공화국'이라고 인식하고 '거대악(惡) 퇴출’이라는 다소 사명감 어린 목소리로 이어지는 듯하다.
 

그림='미디어오늘' 홈페이지 화면

그러나 광고집행과 관련해 이같은 관점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된다. 비판해야할 사항은 비판할 수 있지만, 단순히 광고집행비를 가지고 갑질, 악(惡)한 기업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기업 자유와 재산권을 침해하고 거래상대를 거절할 권리마저 부정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애초에 기업 광고는 상품 홍보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전략이다. 만약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효과라면 광고는 언제든지 거두어들일 수 있는 것이 기업 고유의 권한이다.

광고집행은 기업의 고유권한인데도, 마치 당연히 받아야하는 광고비를 안 주고 있는 갑질ㆍ거대악(惡)처럼 몰아붙이는 것이 적절하냐는 것이다. 이같은 몰아붙이기는 오히려 언론권력에 기대어 광고집행비를 강요하는 압력이라고 이해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기업에 대한 기사 하나가 기업의 운명을 가를 수도 있을 만큼 파괴력이 막강하다는 점을 볼 때, 강요와 공갈에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광고를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광고집행비가 더 필요하다는 식의 주장을 제기하는 것은 과한 떼쓰기라는 지적이 한겨레 내부에서도 나온다. 기자협회보에 따르면 한겨레 기자 중 한명은 “삼성에게 광고탄압하지 말라고 욕하면서 동시에 광고를 더 달라고 요구하는 건 제가 봤을 때 적절치 않다. 떼쓰기라는 느낌도 든다”면서 “궁극적으로 언론이 자본으로부터 어떻게 독립할 것인가 끊임없이 고민하면서 스스로 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당신은 당신 미워하고 죽이려는 사람한테 계속 후원하겠나? 당신들은 악의적으로 비판하는 상대에게 후원으로 되돌려주는 기업인가?”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앞장서서 삼성의 처벌을 종용하며 악의적 비판과 삼성을 무너뜨리고자 하는 마음을 여과없이 드러내는 매체가 ‘광고비를 안준다’고 비판할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외에도 “광고하는거 기업 자유 아니겠는가. 내 돈 내고 내 마음대로 광고도 못하나?”, “회사 광고도 강제로 분배해야 하나? 공산당마인드네. 어이 없다”, “자신들은 하고싶은거 다할테니 지원만 해달라는 전형적인 유아적 발상”, “희한한 논리”라며 황당한 시선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