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코로나 이후의 세계경제 재편...韓기업, 새로운 국제통상 환경에 대비해야
대한상의-법무법인 광장, 제1차 통상포럼 개최
"탈세계화 뚜렷해지고 있다...글로벌 가치사슬 지역화·다핵화될 것"
"韓기업도 핵심 산업 생산 공정 국내화하거나 다변화 나서야"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이 12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열린 '제1차 대한상의 통상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우한 코로나 사태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자국 기업의 해외생산기지를 국내로 옮기거나 여러 나라로 더욱 다변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제언도 뒤따랐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법무법인 광장 통상연구원은 12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제1차 통상포럼'을 개최했다.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결과로 탈세계화가 뚜렷해지고 있다”며 “글로벌 가치사슬이 지역화·다핵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이 핵심 산업 생산 공정을 국내로 집중시키거나 다변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그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국에서 중국에 과도하게 집중된 가치사슬의 리스크를 관리·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앞으로 비대면 경제가 활성화하고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면서 가치사슬이 재편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생산 거점을 국내, 또는 해외에 확보하려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석영 법무법인 광장 고문은 각국의 우한 코로나 대응 방식의 공통점으로 외국인 입국 제한, 자국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을 꼽으며 다자주의가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외무역에서 자국 위주의 일방적 조치가 계속 되고 정부의 시장개입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제네바 대사를 지낸 바 있는 최 고문은 “통상협정 1단계 합의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에 체결된 데다 합의 내용도 현실성이 떨어져 이행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피해 책임을 중국에 제기하면서 미중 갈등이 다시 격화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부, 학계, 업계 등 각계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우리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재조정해야한다는 제언과 함께 생산거점 다양화를 주문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