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심미자 할머니 장례식 영상 공개...윤미향 등 정대협 관계자 없어
“오히려 日 정부 관료 3명 찾아왔고 한국 인사는 전무했다”
심미자 할머니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 앵벌이시켜 배를 불려온 악당”
다른 피해자 할머니 32명과 함께 무궁화회 결성하고 정대협 비판해와
정대협, 기림의 터 피해자 명단서 심미자 할머니 이름도 뺐다

2007년 2월 27일 작고한 고 심미자 할머니의 영정 사진./주간조선 장례식 영상 캡처

정의기억연대의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를 강도 높게 비판해온 위안부 피해자 고(故) 심미자 할머니의 장례식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정대협 관계자와 정부 인사는 한 명도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11일 확인됐다.

주간조선이 8일 공개한 심 할머니의 2007년 2월 27일 당시 장례식 영상을 보면, 정대협과 정부 인사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들 명의의 화환조차 없다. 여성가족부는 화환만 보냈을 뿐 조문(弔問)을 오지 않았다.

심 할머니의 빈소에는 그의 양아들과 가족, 심 할머니가 결성했던 위안부 할머니 모임 ‘세계평화무궁화회(무궁화회)’ 부회장, 심 할머니의 활동을 지원한 경기도 광주의 교회 신도들, 73년 위안부 등 태평양전쟁 희생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유족회) 관계자들만이 자리를 지켰다. 발인 등 장례 절차를 마친 뒤 경기도 성남의 화장터까지 동행한 인원은 30여 명이 채 안 됐다.

심 할머니의 장례식을 촬영한 인물은 송치순(76)씨는 주간조선에 “오히려 일본 정부 관료 3명이 찾아왔고 한국 정부 측 인사는 전무했다”며 “모두 말로만 돕는다 하고 자기네와 다른 목소리를 내던 심 할머니는 거들떠보지도 않은 거다. 돌아가시는 날까지도”라고 밝혔다.

고 심미자 할머니 장례식장을 지키는 화환들./주간조선 장례식 영상 캡처

심 할머니는 일본 최고재판소로부터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임을 인정받은 피해자다. 그런 심 할머니는 2000년대 초반 다른 위안부 할머니 32명과 함께 무궁화회를 만들고 정대협을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무궁화회는 2004년 1월 ‘위안부 두 번 울린 정대협, 문 닫아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정대협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 회복과는 정반대의 길을 달려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신들은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며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답시고 전국에서 성금을 거둬들였지만, 우린 그 성금으로 수혜를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했다.

이후 무궁화회의 피해자 할머니 13명은 서울서부지법에 정대협과 나눔의 집을 상대로 ‘모금 행위 및 시위 동원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정대협이 2016년 국민 성금을 모아 서울시와 만든 서울 중구 남산 ‘기억의 터’에 건립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기림비에도 심 할머니의 이름은 없다. 심 할머니를 포함해 8명의 할머니 이름도 빠져 있다. 당시 기림비의 이름은 정대협이 작성한 247명의 명단을 근거로 새겨졌다. 당시 정대협 대표는 윤 의원이었다. 심 할머니와의 불편한 관계를 바탕으로 심 할머니를 기억의 터 명단에서 제외한 것이라면 그동안 정대협이 주장해온 피해자 중심주의를 스스로 위배하는 꼴이다.

이와 관련, 또 다른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달 “왜 거기(정대협 등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거주 시설) 모신 할머니만 피해자냐. 전국의 할머니를 위하고 도우라고 (기부금을)주는 건데 어째서 거기 있는 할머니만 피해자라고 하나”라고 따지기도 했다.

안덕관 기자 adk2@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