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1인 가구의 특성분석과 경제적 영향' 보고서 발표
주거와 취업 형태에 따라 1인 가구 속할 가능성 올라가
한경연 "자력으로 주거 공간 마련할 수 있는 기회 최대한 확대해야"

여성이나 저학력, 미취업 가구주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인 가구 확대를 위한 주거와 일자리 정책 개선이 급선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인 가구의 특성분석과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경연이 한국노동패널 21차 조사자료(2018년)를 분석한 결과 ▲여성 가구주, ▲중졸 이하 가구주, ▲미취업 가구주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았다.

1인 여성 가구주는 남성(14.7%)의 4배에 달하는 57.4%. 1인 중졸 이하 가구주는 대학원졸 이상(19.7%)의 2배에 달하는 38.6%, 1인 미취업 가구주는 취업가구(21.5%) 보다 훨씬 큰 35.9%였다.

주거 형태별로 차이도 확연했다. 월세 48.2%, 무상주택 등 기타 60.7%로 집계됐다. 자가 가구주는 13.4%에 그쳤다.

한경연은 주거 형태가 1인 가구를 결정하는 데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인 가구 요인들 간 인과관계의 확률값을 분석한 결과다.

전세가 1인 가구에 속할 가능성은 자가에 비해 약 8∼9%포인트 높았다. 이어 월세는 약 26%포인트, 기타는 약 38%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왔다.

다음으로 취업 형태 영향도 있었다. 상용직과 자영업이 1인 가구가 될 확률은 미취업과 비교해서 각각 5%포인트, 5∼6%포인트 낮았다.

한경연은 1인 가구 증가가 소득불평등과 빈곤율 악화로 이어진다면서 “1인 가구를 다인 가구로 전환하는 정책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택 관련 금융과 세금정책 개선 등으로 안정적인 주거 공간을 자력으로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