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들의 의료용품 반출 금지에 공급난 이어져

사진: 연합뉴스 제공
사진: 연합뉴스 제공

미국이 우한폐렴에 대응하기 위해 2조2000억달러(약 2684조원)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을 마련했지만 정작 병원 의료진들의 의료용품 부족 사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AP통신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AP통신은 2조2000억달러의 관련 예산 중 1000억달러가 병원과 주 정부를 위한 것이지만 막상 의사와 간호사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보호복, 장갑, 마스크의 심각한 부족을 해소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이같은 의료용품 부족은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공급 부족이 그 원인이며 이를 해결할 조달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을 뿐더러 단기간에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릴 만한 여건도 못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병원과 주 정부, 연방재난관리처(FEMA)는 서로 의료 물자 확보를 위해 경쟁하다 보니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다. 특히 주 정부는 연방정부를 불신하며 자체 확보에 적극 나서다 보니 일주일 전 2달러50센트이던 마스크 가격은 9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공급을 늘리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의료용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인 라텍스와 고무, 직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고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캐이틀린 워웍 노트르담대 조교수는 "원재료 공급자들이 용량을 늘리려면 시간이 걸리고, 공급처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곳에 있다면 실현 불가능할 수 있다"며 "지금도 대규모 공급난이 있는 사정을 감안하면 무서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완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것도 어렵다. 중국의 경우 우한폐렴 사태 이후 공장 폐쇄로 미국으로의 의료용품 수출이 급감했으며, 그나마 생산을 하더라도 전부 또는 일부를 중국 내에서 판매하게 돼 있다.

또 동남아시아에서 중남미에 이르기까지 많은 공장이 문을 닫거나 생산량을 제한하는 상황이다. 일례로 전 세계 의료용 장갑의 75%를 생산하는 말레이시아의 경우 공장 문을 닫은 채 절반의 직원만 일터에 설치된 숙소에서 출근해 물건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글로벌 무역정보업체 판지바에 따르면 이달 들어 현재까지 의료용 장갑 선적은 작년 동기보다 23% 감소하고, 보호복 수입은 64%나 줄어들었다. 거의 전량 중국에서 생산하는 N95 마스크는 현재까지도 미국 항구에 도착하지 못한 상태다.

이외에도 식염수, 살균 냅킨, 전기 충격기, 산소 공급기 등 병원에서 공급난을 호소하는 물품들은 다양하다.

이처럼 병원들이 필요한 물품을 조달받지 못하자 사기나 위조 제품이 만연한 '준(準) 암시장' 거래도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공급량을 늘리는 것 외에 주 정부와 병원이 의료 물자를 적재적소에 할당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싱크탱크인 글로벌개발센터(CGD) 객원연구원인 프라샨트 야다브는 "진정한 과제는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킬 확실한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단지 더 많은 현금을 투입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고 지적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