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후반 실업률, 20%대 웃돌며 7년째 OECD 1위 기록
"2030세대가 원하는 일자리 늘지 않고 있기 때문"
"청년 인구 감소로 시장규모 줄어들어"...청년실업 심화 우려 높아

한국의 전체 실업자에서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1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20대 후반 실업률이 7년째 20%대를 웃도는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13일 OECD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25∼29세 실업자가 한국 전체 실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집계됐다. 이는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1위인 한국에 이어 덴마크(19.4%)와 멕시코(18.2%)가 뒤를 이었다. 미국과 일본의 20대 후반 실업률은 각각 13.0%, 12.6%이었다.

한국의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20대 후반이 수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7.8%에 불과하다. 그러나 실업자 다섯 명 중 한명이 20대 후반일 정도로 작금의 실업 문제는 20대 후반에 집중된 상황이다.

2011년 한국의 20대 후반 실업률은 20.1%였다. 당시 20.8%로 1위였던 그리스, 슬로베니아와 근소한 차이였다.

2012년 들어 그리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을 받은 이후 20대 후반 실업률이 18.7%로 내려갔고, 슬로베니아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역성장을 한 이후 플러스 성장 궤도에 접어들며 20대 후반 실업률이 19.9%로 하락했다. 그러나 한국은 20.2%로 OECD 36개국 가운데 최고 수준에 머물렀다.

2012년 이후 7년 동안 한국의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은 20%대를 웃돌며 OECD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대 후반 실업률이 줄지 않고 있는 문제의 원인이 궁극적으로 2030세대가 원하는 일자리가 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대졸 청년들이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커지는 상황에서 취업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으로서는 한국의 노동 유연성이 상당히 낮아 신규고용을 꺼릴 수밖에 없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한국은 정규직 초임이 높고 고용 안정성도 커 기업 입장에선 신입직원 채용을 늘리기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통계청의 '2017년 임금근로 일자리별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23만원으로 대기업 근로자(488만원)의 45.7%에 불과했다. 한국 대기업의 대졸 초봉(3만6천228달러)은 일본(2만7천647달러)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으로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해가 갈수록 크게 벌어진다. “첫 직장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는 20대 후반 청년들이 구직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취업 준비에 몰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청년 인구가 줄어들고 있더라도 기업 활동이 위축되면 실업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오는 이유다.

한편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논문은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경제에서는 시장도 줄어들어 청년실업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청년실업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문가들의 비관적 우려가 힘을 얻고 있다.

김진기 기자 mybeatles@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