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관련 대출보다 인건비 등 운전자금 대출 급격히 늘어

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가 세계 주요국들과 비교해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보면 올해 2분기 말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99.3%로 전분기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43개 조사 대상국 가운데 세 번째로 빠른 상승폭이다.

1위는 싱가포르로 116.6%에서 119.5%로 2.9%포인트 뛰었고, 2위는 칠레로 99.1%에서 101.3%로 2.2%포인트 올랐다. 2분기 말 일본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01.6%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미국은 75.0%로 0.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으며, 중국은 기업부채 비율이 155.5%에서 154.5%로 1.0% 하락했다.

다만 GDP 대비 기업부채의 절대 수준을 놓고 보면 한국이 프랑스, 스위스, 일본 등 선진국보다 낮다. 그러나 최근 경기가 악화하면서 기업부채 비율이 가파르게 상승 중인 것이다. 올해 설비투자가 마이너스(-)인 만큼 빠르게 늘어난 기업 빚은 투자보다는 인건비와 재료비 등 기업 운전자금 위주로 쓰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은 산업별 대출금 통계를 보면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은 작년 2분기 4.0%에서 올해 2분기 7.4%로 올랐다. 반대로 설비투자와 관련이 깊은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은 10.3%에서 7.5%로 낮아졌다. 3분기 들어서는 운전자금 대출 증가율이 7.3%, 시설자금은 6.5%까지 낮아지며, 운전자금 대출 증가세가 시설자금을 앞섰다. 금융위기나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때도 시설자금 대출 증가율이 운전자금 증가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수준 자체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지만, 가계부채가 1500조 이상 쌓인 가운데 업황 악화 속 기업 대출마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은 문제로 지목된다. 한계기업들의 차입금이 늘어나면 경기침체 시 기업 대출이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지고, 신용경색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지난 10월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막대한 규모의 글로벌 기업부채가 향후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으며 신흥국 중에서는 한국, 브라질, 인도, 터키 은행이 부실 자산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로 금융비용이 낮아진 가운데 한계기업, 좀비기업들이 대출로 연명하고 있다"며 "경영상황이 좋은 기업들은 여유자금을 은행에 넣어두고 투자를 꺼리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