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말 기준 민노총 96만8천명...한노총 93만3천명
文정부 출범에 기여...與圈 비호 하에 세력 불린 듯 ‘정규직 전환 정책 이후 급격히 성장’
한노총, 포스코와 삼성전자에 노조 설립하는 듯 세력 확장에 집중

민노총./연합뉴스
민노총./연합뉴스

민노총이 '제1 노총' 지위에 올랐다. 공식 집계상 처음으로 조합원 수 부분에서 한노총을 앞지른 것이다. 1995년 창립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문재인 정부의 출범에 상당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여권(與圈)의 비호 하에 세력을 불린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고용노동부의 ‘2018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민노총 조합원 수는 96만8035명으로 한국노총(93만2991명)보다 3만5044명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제 민노총이 한노총을 대신해 ‘제1 노총’이라는 노동계 대표성을 획득하게 됐다. 민노총 관계자는 “보수 정권 시절 탄압받던 노동자들이 '촛불 혁명'을 계기로 목소리를 내면서 민주노총에 가입한 결과라고 본다”고 강변했다.

노동계 안팎에서는 현 정부의 노동 정책이 민노총의 조직 확대와 직결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는 공공 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라 빠르게 커졌다. 조직화된 비정규직이 대거 공공운수노조하며 정규직 전환을 노렸기 때문이다.

민노총 조합원 수는 2016년 기준 70만명을 못 미쳤다. 그러나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기준 71만1000명으로 많아졌고 1년 만에 96만8000명으로 36% 가량 급증했다. 이번 노동부 발표에는 민노총 가맹 조직이면서 법외 노조 상태인 전국교직원노조(전교조)는 집계에서 제외됐다. 약 5만 명에 이르는 전교조가 노조로 인정될 시 민노총 규모는 훨씬 커진다.

한면 한노총은 ‘제1 노총’ 지위를 잃게 됐다. 매년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는 최저임금위원회에 속한 노동계 근로자위원은 9명이다. 이 중 한노총 추천 위원이 5명, 민노총은 4명이다. 차기 최저임금위 근로자위원 구성은 역전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의 고민은 더 깊어질 전망이다. 민노총이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불참하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도 민노총의 세력 확장에 비판적인 반응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향후 노사 관계가 대화와 협력보다는 투쟁과 대립의 분위기로 가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한노총은 조직 확대 전략을 새로 수립한다는 입장이다. 내년 1월 예정된 한노총 차기 위원장 선거에서는 조직 확대 방안이 핵심 사안으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된다. 한노총은 지난해 9월 무노조 경영을 해온 포스코에 한노총 산하 노조를 조직하면서 세력을 늘렸다. 지난달에는 삼성전자에 한노총 산하 노조 조직을 만들었다.

국내 노동계에서 처음으로 제1 노총 지위가 바뀌면서 양대 노총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안덕관 기자 adk2@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