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경영 체제' 돌입한 기업들, 인력 감축-임원 승진 최소화...두산중공업은 신규 임원 '0명'
CJ, 경영지원 인력 20% 영업 부서로 재배치...임원 승진도 작년 70여명에서 10여명으로 최소화 예정
롯데, '반일운동' 여파로 주요계열사 고전 면치 못해...600여명의 임원 중 40% 교체하는 등 대규모 인적 쇄신
두산중공업, '탈원전' 직격탄...임원들에 줄줄이 퇴사 통보한 데 이어 신규 임원 승진자 '0명'

사진: 연합뉴스

'문재인 불황'이 길어지면서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기업들이 내년에도 지속될 불황에 대비해 올 연말 인사 개편에 한창이다. CJ와 롯데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인력을 줄이거나 부서 재배치를 통해 비용을 최대한 줄이고 장기 불황에 대비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두산중공업 등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기업들은 올 연말 임원 승진을 제로(0명)로 확정했다.

19일 산업계에 따르면 CJ는 올해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함에 따라 최근 지주사 인력의 절반에 달하는 200여명을 계열사로 내보낸 데 이어 경영지원 인력의 약 20%를 영업 부서로 재배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J는 이같은 부서 재배치와 함께 일부 조직을 통합하거나 팀 단위로 축소하는 방안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 슬림화를 통해 불황을 타개하려는 것이다. 임원 승진도 작년 70여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인사에선 10여명으로 최소화 할 예정이다.

CJ는 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CJ제일제당이 지난 10월 비상경영 체제로 전환을 선포하며 그룹 전체의 사업 구조조정 신호탄을 알린 바 있다. 지난해 22% 고용 증가율을 보였던 CJ제일제당은 올해 3분기까지 2.8% 증가율을 보이는 데 그치면서 추가 고용에 극도로 조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나아가 CJ제일제당은 차입금이 2015년 5조원 수준에서 현재 9조4000억원으로 늘어 지난 3분기 누적 순이자 비용만으로 2326억원을 지출했다. 이는 3분기 영업이익 6271억원의 40%에 육박할 정도로 구조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다.

롯데 또한 황각규 부회장이 지난 10월 31일 "국내 및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하고 있는 만큼 미래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비상경영 체제'를 선포한 이후 대대적인 인사 개편을 준비 중이다.

롯데는 19일 계열사별로 이사회를 열고 600여명의 임원 중 계열사 대표를 비롯해 많게는 40% 정도를 교체해 대규모 인적 쇄신을 꾀할 것이란 관측이다. 롯데측은 이와 관련해 비상경영체제로 들어간 상황에서 실적과 성과를 우선으로 하는 인사를 단행할 것이라 밝혔다.

올해 롯데는 '반일 운동'의 여파로 관련 계열사들의 타격이 심각한 상황이다. 반일 운동의 직격탄을 맞은 유니클로는 롯데쇼핑이 49%, 무인양품은 롯데상사가 40%, 롯데아사히주류는 롯데칠성이 5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유니클로는 반일 운동이 한창이던 지난 7월 매출이 30% 이상 줄기도 했을 정도로 큰 타격을 받은 데 이어 롯데쇼핑, 롯데푸드, 롯데지주 등 롯데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주가는 지난 7월을 기점으로 이번달까지 20∼30% 급락한 상황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외에도 '반일 운동'의 여파는 항공업계로 뻗쳐 나가면서 제주항공, 진에어 등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실적은 급격히 악화했다. 국내 LCC 맏형 격인 제주항공은 2014년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19분기 연속 흑자를 내다가 지난 2분기에 적자로 전환한 데 이어, 3분기에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적자를 기록했다. 최근 이스타항공은 실적 부진을 견디다 못해 제주항공에 지분 51.17%을 매각해 '공동 경영 체제'로 전환하는 등 항공업계의 급격한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탈원전'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두산중공업의 경우, 지난달 전체 임원 65명 중 13명에게 퇴사를 통보한 데 이어 신규 임원 승진자는 '0명'으로 확정됐다. 2016년 124명에 달했던 두산중공업의 임원 수는 3년 만에 절반 이하인 52명으로 줄어든 상황이다. 두산그룹은 이외에도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렸던 두산건설이 이번달 상장 폐지되고, 두산중공업으로 편입되는 등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선 글로벌 불확실성 보다 국내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반응을 보인다. 미중무역 갈등에 대한 여파보다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 근무제 시행 등에 추가적으로 '반일 운동'과 '탈원전' 정책 등에 따른 피해가 더 크다는 설명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정책에 따른 문제점도 대비하고 극복해야 할 과제지만,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등에 따른 갑작스런 타격은 기업도 예상치 못한 타격이었다"며 "기업들은 앞으로 추가적인 국내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장기적으로 사내 안전 자산을 늘리고 비용을 최대한 줄이는 형태로 사업을 운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