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국가 중 한국을 포함한 10개 국가가 가계부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국제결제은행 BIS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자료를 인용해 이들 10개국을 가계부채 위험 국가로 분류했다. 

한국을 포함해 노르웨이와 스웨덴, 스위스,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홍콩, 태국, 핀란드 등이다. 이들 국가는 가계부채 증가율이 평균 1%를 웃돌면서 동시에 국내총생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65%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노르웨이가 평균 15%로 가장 높았고 우리나라가 10%대로 뒤를 이었다.

WSJ은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65%를 넘거나 최근 3년간 평균 증가율이 1%를 넘는 10개국이 위험 영역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10개국의 경우 대부분 선진국이어서 부채 상환 능력이 양호한데다 최근 대출 규제 강화 등을 통해 만일의 사태에 사전 대비하고 있어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폴 데일스 캐피탈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호주나 뉴질랜드의 주택시장 붕괴가 미국과 중국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상상하기 어렵다"며 "세계 금융 시스템에 그런 일이 생기게 할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은 "가계부채 문제는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전체 1400조 가계부채 중에서 부동산 담보대출은 560조 밖에 안 되고, 560조 중에서도 주택구입 목적은 40% 밖에 안된다. 나머지 약 1000조 정도는 생계형이나 사업자금 대출이다. 문제의 초점을 부동산에 맞춰선 안됀다. 현재 가계부채 해결을 부동산만 옥죄는 쪽으로 정책의 역점을 두고 있고, 그것만 줄면 가계부채가 줄 것으로 생각을 해왔기 때문에 지금 수 차례의 일년에 서너 번씩 내놓는 대책에도 불구하고 해결이 안 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