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문가들 “한국정부 및 다른 정부들이 이 문제 무시 못 하도록 압박해야”

북한이 지난 2018년 5월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 방식으로 폐기했다. 사진은 지휘소와 건설노동자 막사가 폭파되는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이 지난 2018년 5월 24일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폭파 방식으로 폐기했다. 사진은 지휘소와 건설노동자 막사가 폭파되는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 핵실험장이 위치한 풍계리와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들에게 높은 방사능 피폭 수치가 측정된 것과 관련해 미국의 전문가들은 “인간의 생명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 북한정권의 심각한 폐단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한국정부와 다른 정부들이 이 문제에 침묵하는 것은 유엔의 대북 인권 결의들,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들과 모두 배치되는 것으로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로버트 킹 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3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길주군 출신의 탈북민들에게 나타난 높은 방사선 피폭 수치는 “아주 비극적인 문제”라고 말했다.

킹 전 특사는 “주민들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전혀 듣지 못한 채 높은 수준의 방사선에 노출돼 왔다는 것은 매우 비극적인 문제”라며 “인간의 생명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 북한정권의 심각한 폐단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했다.

그는 “북한정권이 이 세상 어떤 나라보다 주민들의 건강과 복지를 거의 고려하지 않은 채 핵실험을 진행한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강조했다.

로버타 코헨 전 미 국무부 인권 담당 부차관보는 VOA에 탈북민들에게서 나온 높은 방사능 피폭 수치는 핵무기의 상당한 위험을 보여주는 것으로 미북 실무협상에서 미 대표단이 이 사안을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코헨 전 부차관보는 “이번 사안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현장 사찰 필요성을 제기한다”며 “이번 방사능 피폭 문제는 북한의 체제 환경과 본질, 인권문제를 대북 핵 협상에서 다루지 않고는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는 “핵실험 장소의 심각한 방사능 수치 정보를 감춘 채 기밀로 유지하면서 건강권과 생명권이 있는 지역 주민들을 위험에 직면하게 하는 것 자체가 핵과 인권의 연관성을 증명한다”며 “이런 문제에 대한 충분한 검증과 접근, 정보의 자유, 모니터링 없이 북한의 합의하는 것은 불충분하며 오히려 위험을 더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한국정부와 다른 정부들이 이 문제에 침묵하는 것은 유엔의 대북 인권 결의들, 유엔 안보리의 대북 결의들과 모두 배치되는 것으로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북한인권위원회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VOA에 “북한정권의 핵 개발에 의한 방사능 오염 이슈는 상당히 심각한 문제이며 이번 사안은 핵과 인권이 분리될 수 없다는 진실을 일깨우고 있다”고 했다.

북한 출신으로 미국 대학에서 핵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조셉 한 씨는 3일 VOA에 “길주군은 역내 곡창지대로 방사능 오염이 농사에 미칠 위험이 크다”며 “지하 어디까지 방사능 피폭이 됐는지 측정하기 쉽지 않으며 북한은 기술도 관심도 낮기 때문에 앞으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수잔 숄티 디펜스 포럼 회장은 VOA에 “이 사안은 탈북민들이 오랫동안 제기한 아주 심각한 문제”라며 “문재인 정부가 헌법 의무인 이 문제를 무시하지 못하도록 압박 운동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앞서 국내 언론들은 정병국 국회의원 측이 통일부에서 받은 자료를 인용해 북한 핵실험장이 위치한 풍계리와 인근 지역 출신 탈북민 10명에게 방사능 피폭 검사를 한 결과 5명에게서 250~1386mSv(밀리시버트)에 달하는 높은 수치가 측정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핵물리학자인 윌리엄 바레타 교수는 2일 VOA에 “극도로 높은 수치며 특히 1300mSv는 심각한 방사능 질환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