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8개월째 줄어드는 심각한 현상 계속돼, 수입도 벌써 3달째 감축 일로
올해 1∼7월 기준 소비자물가 구성하는 품목 중 29.8%가 1년 전보다 가격 하락
수입 감소는 장차의 수출 감축을 의미한다는 데서 더욱 심각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품목 가운데 가격이 내려간 품목들의 비율이 계속 오르고 있다. 한국은행은 가격 하락을 주도하는 품목의 비율이 제한적이라고 봤으나, 비율이 오름세인 만큼 디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올해 1∼7월 기준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460개 품목 가운데 1년 전보다 가격이 하락한 품목의 비율은 29.8%(137개)다.

소비자물가에서 가격이 떨어진 품목 비율은 2012년 16.2%에서 2013년 25.6%로 급등했고 2014년 26.4%, 2015년 25.8%, 2016년 28.9%, 2017년 27.4% 등으로 등락을 반복했다. 이후 지난해 28.0%에 이어 올해 1∼7월(29.8%)에는 상승 흐름을 보였다.

올해에는 경기 성장세가 크게 둔화한 만큼 국제유가나 농산물 등 공급 측면 요인 이외에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부진도 저물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올해 8월 한 달을 기준으로 보면 460개 품목 가운데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이 0% 미만인 품목은 151개로, 32.8%를 차지했다.

특히 물가의 큰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과 석유류 제외 지수인 '근원물가'도 전체 품목 중 가격 하락 품목 비중이 2012년 15.4%에 비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27.1%로 소비자물가와 비슷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근원물가 구성 품목 407개 가운데 가격이 하락한 품목들의 비중은 2012년 15.4%→2013년 20.8%→2014년 20.2%→2015년 19.0%→2016년 20.2%→2017년 22.1%→2018년 26.2%→2019년 1∼7월 27.1%까지 대체로 상승 흐름을 보였다. 소비자물가와 달리 민간분야 성장세 둔화 우려가 본격화한 2018년부터 비율이 크게 올랐다.

한은은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하락 품목의 비율이 제한적이라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일축했지만, 전체적인 비율이 상승 추세인 만큼 디플레이션 징후는 짙어지고 있다. 

한편 올들어 수출 수입이 모두 줄어들면서 소위 불황형 흑자가 오히려 확대되는 등 대외경제활동도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경상수지는 69.5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11%나 급감한 460.9억달러, 수입은 전년대비 2.7% 감소한 436.9억달러를 기록했다. 수입보다 수출이 더 줄어들면서 흑자규모는 전년 동월의 107.9억달러보다 다소 줄었다. 수출은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째 줄곧 내림세였고 수입 역시 3달째 줄어들어 우리경제가 전체적으로 위축되고 있음을 그대로 드러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