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수 7월 기준 1999년 이후 최대....실업률 2000년 이후 최대
정부재정 투입으로 취업자 수 29만 9천명 증가...대부분 노인 일자리
60대 이상 취업자 37만 7천명 증가...30ㆍ40대 취업자는 마이너스
확장실업률 11.9%, 청년 확장실업률 23.8%...모두 통계작성 이후 최대
홍남기 "30~40대 제조업 취업자 계속 감소세...수출 감소로 고용 회복 어려워"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등록을 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는 모습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등록을 하기 위해 줄을 서고 있는 모습

 

지난달 실업률과 실업자 수가 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는 1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7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실업자 수는 109만7천명으로 파악됐다. 1년 전보다 5만8천명 늘었는데 실업자는 7월 기준으로 1999년 7월(147만6천명) 이래 20년 만에 가장 많았다.

실업률도 3.9%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달 기준으로 2000년 7월(4.0%) 이후 19년 만에 최고였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취업자 수를 늘리려고 정부 재정을 투입하니 비경제활동인구가 새롭게 고용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는데, 이것이 역설적으로 실업률은 더 높이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취업자 수는 2738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29만9000명(1.1%)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3개월 연속 20만명대를 넘었다. 지난달 증가 폭은 지난해 1월(33만4000명) 이후 1년 6개월만의 최고치다. 정부가 재정을 쏟아부어 만든 고령층의 일자리가 늘어난 데다, 지난해 7월 취업자 증가 폭이 5000명에 불과했던 ‘기저효과’ 덕분으로 분석된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37만7000명이 증가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통계 작성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다. 이 중 65세 이상이 21만1000명으로 56%를 차지한다.

반면 한국 경제의 중심축인 30ㆍ40대의 고용 한파는 여전하다. 1년 전보다 각각 2만3000명, 17만9000명 줄었다. 30ㆍ40대 취업자 수는 2017년 10월 이후 22개월째 동반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산업별로는 질 좋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취업자 수는 역대 최장기간 감소세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9만4000명 줄었는데, 지난해 4월 6만8000명 감소한 이래 1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과 전기장비 쪽에서 마이너스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소매업 취업자도 8만6000명 줄어 제조업에 이어 감소 폭이 두 번째로 컸다. 17개월 연속 전년 대비 감소세를 지속하다 지난 5월 플러스로 전환했던 도·소매업 취업자 수는 6월부터 다시 줄고 있다. 제조업에서의 업황 부진이 도·소매업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취업 준비생을 포함한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확장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0.4%포인트 상승한 11.9%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확장실업률도 1.1%포인트 상승한 23.8%로 역시 최대치다. 청년 4명 중 1명이 사실상 실업자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활력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7월 고용동향에 대해 "30∼40대와 제조업 취업자는 계속 감소세를 보이는 등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출 감소세 지속 등으로 제조업 고용 회복이 제약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어 "일본 정부의 경제적 보복 조치로 불확실성이 크게 늘어나는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경제 여건이 결코 녹록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김민찬 기자 mkim@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