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수출 86.3%, 수입 31.2% 감소, 총 교역규모는 48.8% 감소한 28.4억 달러
中에 대한 무역의존도 95.8% 사상 최고치

코트라 제공
코트라 제공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남북교역 제외) 규모가 전년 대비 48.8% 감소한 28.4억 달러(약 3조 3475억 원)로 나타났다. 총 교역 규모도 2017년에 이어 2년 연속 축소됐다.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19일 발표한 ‘2018년도 북한 대외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 간 교역을 제외하고 북한은 수출과 수입 부문에서 모두 크게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출은 전년 대비 86.3% 감소한 2.4억 달러를 기록했고, 수입은 전년 대비 31.2% 감소한 26억 달러로 밝혀졌다. 무역 적자는 23.6억 달러로 전년도 20.1억 달러에서 17.5% 증가했다.

코트라는 북한의 교역량이 대폭 감소한 원인을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북한 대외규모 무역 감소./연합뉴스
북한 대외규모 무역 감소(PG)./연합뉴스

2017년 8월부터 시행된 결의안 2371호는 UN 회원국에 대해 북한산 석탄, 철광석, 수산물 등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이어 9월부터 시행된 2375호는 북한산 직물 및 의류 완제품의 수입도 제한했다. 또한, 12월에 나온 결의안 2397호는 산업용 기계류나 수송기기의 대북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이 같은 대북제재가 실효를 거두며 북한의 무역규모가 대폭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북한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교역량도 전년도 대비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었다. 대중 무역적자는 23억 3000만 달러로 19.2% 늘었다.

다만,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북·중 무역이 북한 전체 대외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5.8%다. 전년보다 1%포인트 증가했으며, 북한 전체 수출의 80.2%, 수입의 97.2%를 차지한다.

일본은 2009년 자체 대북제재를 시행한 이후 10년간 교역 실적이 전무한 상황이다.

중국에 이은 상위 교역국은 러시아, 인도, 파키스탄 순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방글라데시, 독일, 가나, 브라질이 새롭게 10위권에 진입했다. 그러나 이들 신규 진입 국가들이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0.1%대로 매우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2017년 유엔 결의안으로 북한 수출입 금지품목이 대폭 늘어나면서 북한 수출입 품목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제재 품목인 광물성 연료, 의류, 수산물 수출이 100% 가깝게 감소했다. 또한, 2017년 큰 폭의 수출 증가세를 기록한 식용과실 및 견과류 수출도 전년대비 94.5% 감소를 기록했다.

제재 대상품목이 아닌 경공업 제품류의 수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부분품이 1,533.7%, 가발이 포함된 조제우모·솜털 등도 159.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북한의 최대 수입 품목은 원유·정제유 등 광물유로, 3억 6,000만 달러가 수입돼 전체 수입의 13.7%를 차지했다.

2017년 수입 2·3위를 기록한 전기기기, 보일러·기계류는 각각 97.6%, 96.9%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수입이 감소한 가운데, 식용유 등의 동식물성 유지제품이 27.9%,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한 비료가 132%의 증가세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코트라 관계자는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북한 무역규모는 55∼76억 달러 규모를 유지했으나, 2018년 처음으로 30억 달러를 밑도는 결과를 기록했다. 유엔 대북 제재가 북한 무역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재차 확인된 셈이다”면서도 “향후 제재 대상 외 품목의 수출입이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북한 무역규모 축소가 계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안덕관 기자 adk2@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