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합참·국정원에 상황보고서 전파한 뒤, 국방부·합참의 당국자들 대상 회의 소집
軍브리핑에서는 "확인 안 됐다...특별한 문제점 발견하지 못했다"
해양경찰청 상황보고서보다 더 빨리 별도의 ‘핫라인’으로 靑에 발생 상황 긴급 보고

 

북한 목선의 ‘해상 노크 귀순’ 파문을 둘러싸고 청와대를 비롯해 총리실 등이 북한 목선 귀순과 관련된 보고를 받고도 군의 축소 브리핑 과정을 사실상 묵인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귀순 당일 합동참모본부 지하벙커에서 대책회의가 열린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부의 축소, 은폐 브리핑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24일 중앙일보에 따르면 15일 오전 해양경찰이 삼척항 방파제 부두에서 북한 소형 목선과 선원 4명을 발견했다는 상황보고서를 청와대·합참·국정원에 전파한 뒤, 합참 지하 지휘통제실 내 회의실에서는 국방부·합참의 당국자들을 대상으로 회의가 소집됐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박한기 합참의장을 비롯해 국방부의 담당 실장과 합참의 주요 본부장들이 참석한 당시 회의에서는 북한 목선이 삼척항에 접안했고, 현지 주민이 신고했다는 해경 상황보고서 내용이 공유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일보는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소형 목선의 삼척항 입항 사건이 엄중하다는 데 모두가 공감했다”며 “이 때문에 합동신문이 끝날 때까지 언론이 관련 사항을 문의할 경우 ‘현재 조사 중이다.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 달라’는 취지로 답변한다는 방침이 결정됐다”고 전했다.   

또한 이날 회의에선 동해 북방한계선(NLL)과 동해안 경계를 담당하는 군 당국의 대비 태세가 허술하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합참의 전비태세검열실이 현장으로 내려가 해상·해안 경계태세를 점검하는 방안이 마련됐으며 전비태세검열실은 당일 오후 강원도로 출발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정 장관과 박 합참의장 등 군 지휘부를 포함해 국방부와 합참이 당일부터 북한 소형 선박의 삼척항 입항 상황을 잘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방부의 대책회의 이틀 후인 17일 국방부와 합참은 백그라운드 브리핑에서 "확인이 안 됐다"면서 현재까지 밝혀진 내용과는 다른 내용을 밝혔다. 또 북한 소형 목선의 발견 장소에 대해 삼척항 방파제 부두가 아닌 ‘삼척항 인근’이라고 밝혔으며, 군 당국의 경계 책임 문제에 대해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17일 백 브리핑 내용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방부와 합참이 청와대와 조율했는지 여부를 놓고도 관심이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 목선의 귀순과 관련해 해양경찰청이 기존에 알려진 상황보고서보다 더 빨리 별도의 ‘핫라인’으로 청와대에 발생 상황을 긴급 보고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기관에 공식 라인으로 ‘북한 선박 발견 상황보고’를 보내기 전 사안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별도 채널로 청와대에 먼저 보고했다는 것이다.

24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해경은 청와대 상황보고 최초 시각과 내용을 제출하라는 국회 국방위원회 의자료 요청에 “15일 오전 7시 8분 핫라인으로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답변했다. 보고한 내용은 “삼척항에 북한 배가 계류되어 있어 삼척파출소에서 현장 확인 중에 있음”이라고 답변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