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측 안전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속내는 밥그릇 빼앗기기 싫다는 것
타워크레인 기사, 월급 외에도 3백에서 천 만원 가량의 '월례비' 공사업체로부터 받아 챙겨
건설업체 측 “총파업은 우리더러 노조의 횡포를 계속 받아 달라는 의미”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소속 타워크레인 노동자가 동시 파업과 점거 농성에 들어간 4일 세종시 주상복합건물 공사장의 타워크레인들이 멈춰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소속 타워크레인 노동자가 동시 파업과 점거 농성에 들어간 4일 세종시 주상복합건물 공사장의 타워크레인들이 멈춰서 있다. (연합뉴스 제공)

4일부터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산하 타워크레인 노조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이로써 가동을 멈춘 타워크레인은 한국노총 천여 대, 민주노총 천 5백여 대로 전체 타워크레인 수의 80%에 달해 전국의 공사 현장이 일시에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양대노조의 핵심 요구 사항은 소형 타워크레인의 금지이다. 소형 크레인은 자격증 없이 20일 간의 교육만 이수하면 누구나 조작할 수 있는데, 정부의 규제가 미비해 ‘非노조원’이 대부분인 소형 타워크레인으로 각종 사고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외에도 규격을 속이고 가짜 부품을 쓴 소형 타워크레인이 가동되고 있지만 이 역시 정부가 방치해 사고 위험을 키우고 있다고도 했다.

소형 타워크레인을 반대하는 명분으로 “안전”을 내세운 것이다. 하지만 건설업계 측와 전문가들은 양대노조 총파업의 원인이 결국 돈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최근 들어 공사업체가 소형 타워크레인을 주로 사용하게 되자 뒷전으로 밀려난 타워크레인 노조가 파업을 결행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온전히 노조 측의 ‘갑질 횡포’가 지속된 탓으로 노조 스스로 자초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노조가 조종사 고용이나 3백만 원에서 천만 원 가량의 월례비를 현장에 강요해 왔으며, 말을 듣지 않으면 물리적인 수단을 써서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공사업체 측을 괴롭혀 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사업체는 20시간의 인터넷 교육이면 누구나 운전할 수 있는 소형 타워크레인을 선호하게 됐으며, 실제로 이런 방법이 현장 운영이나 인건 비용 측면에서 훨씬 효율적이어서 소형 타워크레인이 확산된 이유라고 밝혔다.

파업의 또 다른 요구 사항인 임금 인상도 지나치다는 비판이 많다. 이들은 기존 타워크레인 조종사의 월급 약 293만원을 약 320만원으로 9% 올려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타워크레인 기사들은 자신이 소속된 크레인 장비 회사로부터 받는 월급과는 별도로 하도급 업체에서 비공식 수당인 월례비를 챙기고 있다. 건설업계는 관행 상 지불해 왔지만 월례비가 굉장히 부담이었다고 호소했다.

가장 큰 문제는 파업의 최종 피해가 소비자인 국민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공사 현장의 중심부에 있는 타워크레인이 중단되면 전체적인 공사 일정 또한 일시에 ‘올스톱’할 수밖에 없다. 공사가 늦춰지면 건설사는 최대 수백억 원대 지체 보상금을 물게 되며, 이를 피하기 위해 파업 이후 무리하게 공사 속도를 올리면 부실 공사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총파업의 볼모에 국민의 재산권까지 잡힌 것이다.

안덕관 기자 adk2@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