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박사과정 입학생 총 3636명, 2013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
학교의 적극적인 중국인 유학생 유치에 따른 피해는 고스란히 내국인 학생들의 몫

출처: 동아일보

 

박사 취득을 위해 한국의 대학원에 입학하는 중국인 학생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20일 동아일보 보도와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2018년 박사 과정 입학생은 총 3636명으로 2013년의 1906명에 비하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그리고 이들 중국인 입학생 중 상당수는 현직에 종사하는 석사 출신의 교수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막대한 재정 투입으로 대학 시설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키워오고 있는 중국에서는 석사 학위로도 교수가 될 수 있었다. 그런데 중국 당국이 석사 학위의 교수만 약 60만 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대학굴기’ 정책의 일환으로 박사 학위 취득을 권장하고 나섰다. 마침 운영난에 휩싸인 한국의 대학원들은 이렇게 박사 학위가 필요해진 중국인 교수들을 대거 유치하고 있다.

이를 두고 교육계는 교육부가 ‘집중이수제’를 허용하면서부터 이러한 중국인 박사과정생이 늘어났다고 보고 있다. ‘집중이수제’는 16주를 한 학기로 운영하는 기존 제도에서 이수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문제는 애초부터 기간 단축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도 합의되지 않은 채 추진되었다는 점이다. 이렇게 되면서 일부 지방대가 최소 4개월이어야 할 기간을 급기야 12일로까지 단축시켜 주한 중국대사관이 교육부 측에 한국의 학위를 신뢰해도 되겠느냐며 항의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학교 관계자들은 대학원 입학생이 나날이 줄어들고 있는 데다가 11년간 등록금까지 동결된 상황에서 대학 측이 정원 외 입학 등 무분별한 대학원 운영을 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대학이 겪고 있는 재정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190여 개에 가까운 국내 대학에서 이런 문제가 앞으로도 계속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피해는 온전히 내국인 입학생들이 입고 있다. 입학 정원에서 차지하는 한국어에 서툰 중국인의 비중이 늘면서 한국어만으로 전공 수업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인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현장에서는 영어와 중국어까지 수업에 뒤섞여 쓰이는 등의 파행이 벌어져 질 높은 논문 작성 지도는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는 곧 국내 대학과 학위에 대한 공신력 문제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