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전문가들은 북한정권이 인권을 개선하고 개혁·개방 결단을 하지 않으면 ‘자유조선’과 같은 반체제 단체들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일 보도했다.

구 소련을 비롯해 동유럽 공산 국가는 물론 중국, 쿠바, 베트남, 아랍의 독재 정권에는 수많은 반체제 단체나 유명 인사들이 나라 안팎에서 반독재 투쟁을 펼쳤지만 북한은 거의 전무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 북한인권위원회의 그레그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VOA에 이는 북한 내부의 철저한 공포정치와 탈북 망명 인사들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매우 적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는 “사람들이 망명해 해외로 가서 많이 여기저기 생기고 많이 정착하고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힘이 있으면 (반체제)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아직 대한민국에 탈북자들은 3만 2500여명밖에 정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원수도 그렇고 경제력도 아직 그렇게까지는 안 된다”고 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도 “실체를 파악하기 힘든 반체제 단체의 활동에 대해 언급하기 힘들다”면서도 “북한체제를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단체가 활동한다는 것에 대해 북한정권도 경각심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칼라튜 총장은 “해외 바깥세상에서 이런 반체제 인사들과 단체들이 생겼다는 것이 김씨 일가 정권 입장에서 보면 상당히 우려할만한 발전”이라며 “기존에 북한정권을 위협하는 대한민국과 기독교 외 반체제 단체까지 생겼기 때문에 독재 권력을 유지하는 것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자유조선’의 일부 과격한 방법을 지지할 수는 없지만 변하지 않는 북한정권에 강력한 행동을 촉구한다는 측명에서 이 단체를 맹목적으로 비판하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김정은이 실질적인 인권 개선과 개혁, 개방 노선을 걷지 않으면 ‘자유조선’과 같은 더 많은 반체제 단체들이 등장해 북한정권을 더욱 압박할 것이라고 했다.

로버트 킹 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자유조선의 실체를 언론을 통해서만 접했기 때문에 활동이나 영향력을 평가하기 힘들다”면서도 “어떤 나라든 국민의 바람을 계속 무시하기로 선택한다면 옛 공산 유럽과 소련에서 일어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킹 전 특사는 “북한의 열악한 인권문제에 대해 우려한다는 측면에서 대북 반체제 단체와 인권단체들 사이에 큰 차이는 없어 보인다”며 “김정은 정권이 변하지 않으면 이러한 반체제 활동은 더욱 증가할 수 있으며 다만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의 활동은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고 지적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