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MP "중국 정부의 부채 감축 정책이 기업들의 자금난을 불러와"
중국의 '부채주도형 성장' 시한폭탄 터질 수 있다는 우려

지난해 중국기업의 디폴트(채무불이행)가 전년도와 비교해 4배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아가 과반수 기업이 만기일 내 납품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민간기업의 디폴트가 전체 디폴트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무역보험 전문 보함사인 코파스의 조사 결과 지난해 중국기업의 디폴트 규모는 약 160억 달러(1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7년과 비교해 4배 수준이며, 건수로 따지면 119건으로 3배에 달한다.

특히 신용 확보에 무리가 없는 국영기업과 달리, 민간기업의 디폴트는 심각한 수준이다. 국제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채권 디폴트 중 민간기업이 85.7%를 차지한다.

또한 기업들의 남품대급 지연 문제도 심각하다. 코파스 조사 결과 만기일 내 납품대급을 받지 못한 기업은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62%에 이르고, 납품대급을 받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86일에 달했다. 특히 건설업과 자동차 산업에서는 납품대금을 받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각각 106일, 105일에 달했다.

향후 중국기업의 전망도 밝지 않다. 코파스가 조사한 기업 59%는 올해 성장이 전년보다 둔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3배 많은 수준이다. 코파스는 16년 전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절반을 넘어선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SCMP는 "미국과의 무역전쟁 등으로 인한 경기하강에 더해 중국 정부의 디레버리징(부채 감축) 정책이 기업들의 자금난을 불러왔다"며 "올해도 경기 전망이 좋지 않아 어려운 한 해를 예상하는 기업들이 많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들의 파산 문제는 앞으로도 크게 불거질 전망이다. 중국은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규모가 4조8000억 위안(약 802조2000억원)에 달하는 등 향후 리스크가 산재해 있다. 중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공격적인 양적 완화를 통해 경기 부양에 나섰으나, 그 결과는 막대한 부채 규모에 따른 기업들의 줄파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대 규모의 중국 민간투자회사 중 하나인 민성투자는 지난달 1일까지 갚기로 한 30억위안(약 4970억원)을 지불하지 못했으며, 중국의 최대 석탄·화학업체인 윈타임에너지는 지난달 6일까지 갚아야 했던 38억위안(약 6400억원)의 부채 상환 계획을 지키지 못했다. 윈타임에너지는 지난해에도 최대 규모의 부도를 낸 바 있다.

이같은 중국 기업들의 디폴트 사태는 은행들의 재무건전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뱅크런 사태와 위안화의 국제적인 신뢰도 하락 문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민간 기업들에게 국영은행으로부터의 의존도를 낮추고 채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라고 장려해왔지만, 기업들이 채권을 발행해도 팔리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일례로 윈타임에너지는 2017년 100억위안 이상의 채권을 발행했지만 약 3분의 1수준인 36억위안 어치의 채권만이 팔렸을 정도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6.6%에 그친데 이어 올해에도 전망이 밝지 않다. 중국 정부는 최근 경기 둔화를 반영해 지난 5일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작년의 '6.5%가량'에서 '6.0∼6.5%'로 낮췄다.

이에 중국 인민은행 총재를 지낸 저우샤오촨 전 중국 인민은행 총재 겸 행장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중국의 부채 문제를 지적하며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언급하기도 했다. 중국의 '부채주도형 성장'이 1980년대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에 따른 극심한 장기침체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