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사들이 5G용 주파수 경매를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용 주파수 할당을 본격 논의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동통신사들의 관심도 자연스럽게 집중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5G 주파수 경매방식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착수했고 이르면 3월 중순 초안을 마련하고 4월 공청회를 거쳐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한정된 국가자원인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배분해 사용자 및 이용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경매방식을 고민하고 있다. 5G용 주파수 경매는 2010년대 전후에 있었던 4G용 주파수 경매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국책연구기관인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지난달 발표한 ‘주파수 경매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 보고서는 사업자마다 필요한 주파수 양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최대한 인접한 대역을 할당할 수 있는 최신 경매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경매 대상은 3.5㎓(기가헤르츠)와 28㎓ 대역이다. 대역폭은 각각 300㎒(메가헤르츠), 3㎓가 거론된다. 기존 이동통신에서는 잘 활용하지 않았던 3㎓ 이상 초고주파 대역인 데다 대역폭도 LTE보다 넓다. 주파수 경매는 통상 정부가 대역폭을 블록(block) 단위로 나눠 경매에 부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국망 용도인 3.5㎓의 경우 대역폭을 최대 100㎒로 나눌 수 있다. 50㎒이나 20㎒ 단위로 쪼개 블록을 구성하는 일도 가능하다. 기본 단위가 작아지면 최대한 많은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 이통사 간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역폭 확보가 곧 5G 서비스의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300㎒ 폭 블록을 100㎒으로 하면 이통3사(SK텔레콤, KT, LGU+)가 균등한 할당이 가능하지만 50㎒로 블록화할 경우 150㎒·100㎒·50㎒씩 낙찰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회사별로 통신 품질의 근본적인 차이가 생기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LTE는 광대역을 받아야 효율이 높았는데 5G는 가상현실 등 특화 서비스가 다양해 효율성을 따져봐야 한다"면서도 "자금력 있는 회사가 더 많은 대역폭을 확보해 서비스 경쟁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