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등 원전 관련 공기업 퇴직자, 2015~2016년 170명에서 2017~2018년 264명으로 급증
민간기업인 두산중공업에서도 80여명 떠나...UAE, 프랑스 등 해외 경쟁업체로 이직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원전 핵심 인력들이 대거 회사를 떠났다. 탈원전을 본격화한 2017년 부터 작년 말까지 원전 공기업에서만 자발적 퇴직자가 264명에 달하며, 민간 최대 원전기업인 두산중공업에서도 80여 명이 퇴사했다. 이 중 일부는 해외 경쟁업체로 갔다.

25일 정유섭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한국전력기술, 한국수력원자력, 한전KPS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기업에서 자발적으로 퇴직한 원전 분야 임직원은 144명이었다. 정년퇴직이나 해임 등을 제외한 자발적 퇴직자는 2015~2016년 170명에서 2017~2018년 264명으로 급증했다. 

한수원에서 74명이 작년에 사표를 냈으며, 한전기술에서 21명, 한전KPS에서는 49명이 나갔다. 고용이 보장된 공기업에서 단기간에 자발적 퇴직자가 이처럼 급증한 것은 이례적이다. 최근 2년 간 이들 업체에서 퇴직한 인력 중 14명은 해외 원전기업으로 옮겨간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 기업은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재취업 현황을 파악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어서 실제 해외 이직자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기업인 두산중공업에서도 2017~2018년 원전 인력 80여 명이 회사를 떠났다. 두산중공업의 90여 개 주요 협력업체 또한 탈원전 정책 이후 평균 40% 정도의 직원을 구조조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10여 명은 프랑스 아레바, 미국 웨스팅하우스,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ENEC) 등 해외 경쟁업체로 이직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른 원전 핵심 인력들의 이탈은 향후 경쟁력 악화의 주요 원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그동안 원전의 해외 수출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지만 핵심 인력의 유출은 오히려 가속화하는 상황이다.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전 수출에 따른 일감은 4~5년 뒤에야 생기지만 국내 원전 업체들은 신규 원전 6기 백지화로 올해 말이면 일감이 끊긴다"며 "신한울 3·4호기만이라도 재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올해는 원전 인력 이탈의 가속화로 산업 생태계가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