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드루 김 전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이 22일(현지시간) 미 스탠퍼드대학의 월터 쇼렌스틴 아시아ㆍ태평양연구소에서 강연을 마친 뒤 취재진과 인터뷰 하고있다(연합뉴스).
앤드루 김 전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이 22일(현지시간) 미 스탠퍼드대학의 월터 쇼렌스틴 아시아ㆍ태평양연구소에서 강연을 마친 뒤 취재진과 인터뷰 하고있다(연합뉴스).

앤드루 김 전 CIA 코리아미션센터장이 22일(현지시간) 지난해 4월 초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었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1차 방북했을 당시 김정은이 “나는 내 아이들이 핵을 이고 평생 살아가길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 전 센터장은 이날 미 스탠퍼드 대학의 월터 쇼렌스틴 아시아·태평양연구소 강연에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김정은이 북한이 핵을 완전히 포기하기 위해서는 미북관계 개선과 신뢰 구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고 전했다.

지난해 3월 31~4월 1일로 알려졌던 폼페이오 장관의 1차 방북 배경에 대해선 “주요 목적은 한국 특사단이 우리에게 전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방북 후 특사단으로 미국을 방문했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정원장이 ‘김정은이 비핵화 의지가 있다’고 미국측에 전달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차원이었다는 설명이었다. 이와 관련해 김 전 센터장은 “우리는 동맹을 신뢰하지만 그와 별도로 확인하고 검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시 폼페이오 장관은 김정은에게 ‘비핵화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물었고 이에 김정은은 “아시다시피 나는 아버지이자 남편이다. 그리고 내게는 아이들이 있다. 나는 내 아이들이 핵을 이고 평생 살아가길(carry the nuclear weapon on their back their whole life) 원하지 않는다”라고 대답했다고 그는 전했다.

김 전 센터장은 “그것이 그(김정은)의 대답이었다”고 강조했다.

김정은은 면담 동안 비핵화 의지뿐만 아니라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하기 전에 미국과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미북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욕구도 강하게 강조했다고 그는 전했다.

김 전 센터장은 “김정은의 발언이 뜻했던 것은 미북이 70년 이상 적대관계를 가져온 만큼 그가 핵 야망을 포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미국을 신뢰할 수 있게 미북 양측이 따뜻한 관계와 믿음을 쌓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것이 ‘비핵화 의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그가 명확하게 밝힌 첫 번째 메시지였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북한 비핵화’라는 표현 대신 ‘한반도 비핵화’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해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반입 중단 요구에 대한 김정은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협상과정에서 (김정은이) 직접적으로 거론한 적은 없었다”고 전했다.

미북 막후 협상 과정에서 ‘키맨’ 역할을 해온 한국계 김 전 센터장은 지난해 12월 20일 은퇴 후 이 연구소의 방문학자로 자리를 옮겼다. 그는 지난해 폼페이오 장관의 네 차례 방북에 모두 동행했으며, 김정은과의 회담에도 배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관련 회의를 소집했을 때도 참석했다.

또한 그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의 5촌 외종조카(어머니 사촌 형제의 아들)으로 알려졌다. 사석에서 앤드류 김 센터장은 정 실장을 ‘아저씨’라고 부르며 평소에도 자주 소통하며 외교, 안보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실장이 김 센터장과 친척 관계라는 점이 미국의 신뢰를 얻고 맥매스터 보자관 및 마이크 폼페이오 CIA 국장 등과 긴밀하게 소통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다. 또한 그는 서훈 국정원장과 서울고 동문이다.

김 전 센터장이 이날 공개 발언에 나선 것은 처음이다. 미 정보기관의 고위 당국자 출신 인사가 공개 강연에 나선 것 자체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