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OECD와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4분기 한국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이하 식품) 물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5.1% 올랐다.

이는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터키(26.7%)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터키는 경제 구조적 문제에 미국과 외교갈등까지 겹치며 리라화가 폭락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 다음으로는 멕시코(4.7%), 헝가리(4.4%), 아이슬란드(4.3%) 순이었다.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은 2017년 4분기 0.8%(26위), 작년 1분기 0.5%(29위)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2분기 1.9%(20위)로 크게 뛰어오른 뒤 3분기 3.6%(3위)에 이어 4분기 5%대를 찍으며 2위까지 상승했다.

OECD 평균 식품물가 상승률은 2017년 4분기 2.0%다.

한국의 식품물가 상승률을 월별로 보면 작년 7월 1.4%였지만 8월 3.6%, 9월 5.8%, 10월 5.7%, 11월 5.3%, 12월 4.2%로 고공행진했다. 이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1.5%에 머문 것과 대조를 이룬다.

식품물가 상승률이 5%대를 찍었던 작년 9∼11월을 세부적으로 보면 빵 및 곡물, 과일, 채소 및 해조가 상승을 이끌었음을 알 수 있다.

9∼11월 상승률을 보면 빵 및 곡물은 9.5→9.9→10.4%, 과일은 5.9→10.6→11.0%, 채소 및 해조는 11.1→12.0→12.0%를 각각 기록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작년은 기록적인 폭염으로 채소와 과일을 중심으로 작황이 악화하고 일부 축산물 폐사 등이 발생하면서 식품 물가를 높인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작년 전국 평균 폭염(하루 최고기온 33도 이상) 일수는 29.2일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고, 8월 1일에는 서울이 39.6도, 강원도 홍천이 41.0도로 1907년 관측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

하지만 식품 물가가 올해 1월 2.6% 오르며 상승세가 누그러졌다. 빵 및 곡물은 9.7%로 여전히 높지만, 과일은 4.8%로 전월(10.2%)의 절반 수준이며, 채소 및 해조는 -2.3%로 하락 전환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