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북 3파전 끝에 부산·울산으로 최종 가닥
원전 해체 시장은 2050년까지 세계적으로 1000조원에 달한다는 평가

원전해체연구소(이하 원해연) 입지가 부산과 울산 경계 지역으로 최종 낙점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부산시와 울산시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원해연을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걸쳐 설립하기로 가닥을 잡았다고 전했다.

부산과 울산의 고위 관계자는 "부산과 울산이 공동 유치하면 경쟁 과열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동안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북 경주시 등 3개 지방자치단체가 유치 경쟁을 펼쳐온 끝에 부산·울산이 공동 유치한다는 결론이다. 현재 경주 지역엔 신월성 1·2호기와 월성 1~4호기가 위치해있고, 울산엔 신고리 1~3호기, 부산엔 고리 1~4호기가 있어 이들간 입지 경쟁이 치열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가동을 멈춘 원전을 해체하는 데 활용할 핵심 기술을 상용화하는 곳이다. 원전해체 기술을 가진 나라들은 아직 세계적으로 많지 않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 분야의 시장 가치가 2050년까지 10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에선 원전 24기 중 12기가 오는 2030년이면 수명이 끝난다. 개당 해체 비용은 약 6000~8000억원가량으로 추정된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국내 원전 해체 산업 시장 규모를 14조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원해연은 지난 2014년 미래창조과학부가 국책기관 형태로 설립을 추진해 왔지만 경제성이 떨어진 이유로 무산된 바 있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맞물려 설립 논의가 재점화됐다.

설립 예산은 2400억원이며, 연간 운영 예산은 500억원가량이다. 3만3000㎡ 부지에 실험실과 분석실, 해체 기술 실증과 인증 시설, 방폐물 시험 시설, 모의 훈련 시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입지 선정은 다음달 최종 발표되며 오는 5월쯤 예비타당성 심사를 거칠 예정이다. 원해연은 이르면 2020년 착공해 2022년쯤 완공된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