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토지 40% 수탈 주장은 어떤 연구자도 증명한 적 없는 거짓"
"신용하 교수 토지조사사업연구, 자신의 선입견 학술서로 포장한 것"

이영훈 이승만학당 학장(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이 일제가 조선인 농지의 40%를 강제로 빼앗았다는 거짓말이 1960년대부터 무려 50년 이상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버젓이 실려 있으면서 반일 종족주의 미신에 불과한 주장이 국민들의 역사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이 학장은 대한민국 역사와 이승만 건국 대통령에 대한 연구와 강연을 전문적으로 하는 민간 교육기관인 '이승만학당'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이승만TV'에 지난 11일 업로드된 '한손에는 피스톨을, 다른 한손에는 측량기를?'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통해 "1960년대 이래 국사 교과서는 일제가 행한 토지조사사업이 조선인 농민들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학생들을 가르쳤고 심지어 일부 교과서에는 전국 토지의 40%가 조선총독부의 소유지로 수탈되었다는 내용까지 실렸지만 이런 주장은 그 어떤 연구자도 증명한 적이 없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우리의 역사 교과서가 다루고 있는 일제 토지조사사업에 대해 이 학장은 비판했다. 그는 "조선인 농민들에게 신고하라고 조선총독부가 신고서를 나눠줬는데 땅을 소유한다는 개념을 몰랐고 신고가 뭔지 몰랐던 조선인 농민들은 신고하지 못했고 조선총독부가 무신고 토지를 기다렸다는 듯이 국유지로 몰수해 동양척식 주식회사나 일본 이민자에게 불하해줬다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단 한 번도 검증된 적 없는 거짓말이고 반일 종족주의 역사의식"이라고 말했다.

이 학장은 "1910년대 우리 조상이 신고를 몰랐다는 건 거짓말이다. 조선왕조 500년간 우리 조상들은 3년에 한 번씩 호적을 신고했다. 중국 명나라에서는 10년에 한 번 씩 호적을 신고했고 청나라가 되서는 호적 신고가 없었졌다. 우리 한국인은 세계에서 가장 잘 신고에 훈련된 사람들이었다"라며 "신고가 무엇인지 몰랐다는 주장을 한 역사가는 20세기 초의 한국인을 신고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야만 종족으로 감각한 것을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인구의 다수가 글자를 몰랐던 것은 사실이지만 마을에는 글자를 아는 사람이 있고 토지조사 당시에 신고서를 보면 마을 단위로 필체가 동일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마을 대표자가 신고서 대필해준 사실을 알 수 있다. (역사가들은) 우리의 전통 마을을 이웃도 없고 상부상조하는 질서도 없는 야만의 마을로 묘사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학장은 "우리 조상들은 토지를 목숨줄이라고 했다. 누가 자기 목숨줄을 끊는데 가만히 보고 있을 사람이 있는가? 침략자의 힘이 광포해서 어쩔 수 없다고 빼앗긴 토지와 재산을 찾으려고 기회를 엿보기 마련인데 1945년 해방 후 토지를 빼앗겼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없었다. 전국 농지의 40%가 강압적으로 빼앗겼다는 일은 애당초 없었기 때문이다"라고 부연했다. 

이 학장은 "1910년 대한제국을 병합한 일제의 조선총독부는 전국의 토지를 조사하기 시작했고 조선토지조사사업은 1910년부터 1918년까지 8년간 시행됐다. 한반도 전역 토지 상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토지는 대략 2300만 헥타르였고 486만 정보가 생활공간인 논, 밭, 대지, 하천, 제방, 도로, 철도, 저수지, 분묘지 등이고 나머지 1800만 헥타르가 산지였다"며 "일제의 조선 병합은 몇 조각의 토지를 수탈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한반도 전체를 부속 영토로 지배할 목적이었다. 조선인 전체를 영구히 일본인으로 동화시킬 목적으로 들어온 것이다. 그들의 제도와 법을 이 땅에 이식했고 조선왕조가 몰랐던 토지를 얼마인지 그 면적이 그 형질이 어떠한지 그 소유자가 누구인지를 조사한 것이다. 그것이 토지조사사업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 토지에서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이 있었는데 전국 436만 정보 가운데 12만 정보에 불과한 국유지를 둘러싼 분쟁이었다. 이와 관련해서는 신용하 교수가 '조선토지조사사업연구'라는 책을 썼는데 신 교수는 국유지 분쟁에 관해 '한 손에 피스톨을 다른 한 손에 측량기'를 들고라는 말을 지어냈다. 이 말의 뜻은 총독부를 상대로 어느 민간인이 토지가 민유라고 주장하면 총독부는 피스톨로 그것을 제압했다는 것이다. (신용하 교수는) 토지조사사업이 피스톨이 발사되는 폭력적인 과정임을 문학적으로 묘사했다"며 "토지조사반원은 제복을 입고 허리에 권총을 찬 것은 맞지만 이는 깊은 산중에서 산짐승의 공격이나 비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호신용 권총이었지 조선인 농민들을 상대로 발사된 적은 없다"고 설명했다.

신용하 교수가 엉터리 연구서를 쓴 이유에 대해 이 학장은 "신 교수는 토지조사사업에 대해 연구하면서 일선 군청이나 법원에 있는 토지대장을 열람을 한 적이 없고 당시 농민들이 제출한 토지 신고서나 측량관계 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한 적도 없다. 전국 각지에서 국유지 분쟁이 발생했을때 분쟁의 내용과 판결이 어떠했는지 관련 자료를 뒤지지 않았다. 그는 총독부가 편찬한 토지조사사업의 보고서를 뒤집어 읽는 방식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학술서로 포장한 것"이라며 "이런 신 교수의 책이 나오자 일제의 토지 수탈이 구체적으로 증명됐다면서 당시 학계와 지성계는 환호했고 신 교수에게 학술상까지 줬다"고 말했다.

이 학장은 "조정래 작가는 자신의 대하소설 아리랑에서 토지조사사업 즉결처형을 묘사했고 4000여 명이 처형됐다는 엉터리 역사 소설을 지어냈는데 이것은 조정래만의 책임이 아니다. 그에 앞서 신용하라는 한국 사회학과를 대표하는 학자가 쓴 엉터리 연구서적이 나왔었다"며 "일제에 의해 정리된 토지대장과 지적도는 지금도 대한민국의 온갖 토지 행정의 기초 자료로 긴요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교과서를 집필한 역사가나 신용하 교수는 일제의 조선지배의 목적, 메커니즘 그 결과나 역사적 의의를 알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학장은 조선은 물론 일본까지 야만의 종족으로 감각했던 역사 인식은 1910년부터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신 사회였던 조선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을 기맥의 차단, 풍수의 침략으로 감각하고 오해했다고 말했다. 이 학장은 "1910년 한국인들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을 전통 문화, 전통 터부에 대한 파괴로 감각하고 분노했고 토지조사사업 수탈설이 나오는 계기가 됐다. 조선인들이 안고 있는 근대화에 대한 집단적인 피해의식을 1960년대 역사학자들은 전국 농지의 40%가 수탈됐다고 알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1990년대 쇠말뚝 철거 소동이 벌어졌을 때도 신용하 교수는 논문을 통해 '일제는 당시 한인들의 다수가 풍수지리를 신뢰하고 산천의 정기를 중시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명산의 혈맥에 이를 차단하여 죽인다고 하는 철침(쇠말뚝)을 박아 놓았다. 물론 일제 자신은 풍수지리설을 신앙하지 않았으나 한국인들이 신앙했고 한국인들의 좌절감을 심어주기 위해 이러한 정책을 취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 학장은 "불과 20년 전에 전국 곳곳에 군부대가 마을이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박은 쇠말뚝을 일제가 조선의 정기를 말살하기 위해 박은 것이라며 정부까지 나서서 철거 소동을 벌였던 일이나 50년 전에 일제가 조선인 농민의 토지를 수탈했다는 주장은 모두 반일 종족주의라는 한국의 정신세계가 야만의 상단에 놓여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