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낙성대 경제연구소 30주년 기념 심포지엄서 발표

근로 소득 기준 상위 10%는 하락, 하위 50%는 상승하면서 '근로소득 집중도'가 낮아졌다. 지니계수 역시 2010년부터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김낙년 교수 논문 캡처)    

 

근로자의 소득 불평등이 2010년부터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연구 보고서가 발표됐다.

동국대 경제학과 김낙년 교수가 이달에 발표한 '한국의 소득집중도 추계의 업데이트'라는 제목의 논문에 따르면 근로자의 소득 불평등을 알 수 있는 '근로소득 집중도'가 2010년부터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상위 10%에 포함되는 근로자들의 소득은 2010년부터 하락한데 비해 하위 50%에 속하는 근로자들의 소득은 상승하면서 불평등이 개선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위 50%에 속한 근로자의 소득 비중은 2010년 16.1%에서 2016년 19.0%로 2.9%p 높아졌고 상위 10%에 속한 근로자의 소득 비중은 2010년 33.9%에서 32.0%로 1.9%p 낮아졌다.   

소득 불평등 측정 지표인 지니계수 역시 2010년 0.499에서 2016년 0.459로 감소했다. 0과 1사이의 비율로 정의하는 지니계수가 낮다는 것은 더 평등한 소득 분배가 이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소득분배가 개선된 것 외에도 근로자들의 평균 소득도 2009년부터 꾸준히 상승했다. 2009년 평균 근로자 소득 2천4백만 원이 2016년에는 3천3백만 원까지 올랐다.

근로소득 집중도는 전체 근로자의 소득을 상위 0.01%, 0.1%, 1% 등으로 나누고 이들 근로자의 소득이 전체 근로자의 소득에서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2016년 전체 근로자 1950만 명의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0.01%의 연평균 소득은 19억 원 수준이었고 이는 전체 근로자 소득의 0.58%를 차지했다.

또 상위 0.1%의 소득은 6억5천만 원, 비중은 1.98%, 상위 1%의 소득은 2억3천만 원, 비중은 4.76%였다. 상위 0.1%의 소득 비중은 2010년 2.13%였고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4.97%였다. 

한편, 근로소득이 아닌 사업소득과 금융소득을 합한 비근로소득의 경우는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다. 평등해지고 있는 근로소득과 불평등이 심해진 비근로소득을 합한 '전체 소득집중도'는 상승했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