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6일 뉴스통신사인 뉴스1에서 보도한 <文대통령 "암호화폐, 부처 조율 전 공개 바람직하지 않아">에서는 치열한 댓글 전쟁이 벌어졌다. 댓글로 문재인 대통령 호감도 조사가 이루어졌고, 참여한 계정만 3만 5천여개에 이른다. 그 중 "싫다"는 의견에 공감이 2만 5천 여개, 비공감이 1만2천 여개로 대립됐다. 지난해 인터넷 여론이 문 대통령에게 호의적이었던 반면, 올해는 비판적인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양상이다.

네티즌의 많은 주목을 이끈 내용은 문 대통령의 ‘가상화폐’ 관련 발언이었다. 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암호화폐 정책 엇박자와 관련해, “여러 부처가 관련된 정책일 경우, 각 부처 입장이 다른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며 “다만 부처간 협의와 입장조율에 들어가기 전에 각 부처 입장이 먼저 공개돼 정부 부처간 엇박자나 혼선으로 비춰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는 내용이다.

이 보도에 한 네티즌은 댓글을 통해 “문 대통령이 싫다면 공감, 좋다면 비공감”을 눌러달라는 제안을 했다. 이 댓글은 여러 네티즌들을 통해 트위터·각종 커뮤니티 등을 통해 확산되며 뜻밖의 여론조사처럼 진행됐다. 공감/비공감을 누른 나이·성별은 정확한 통계가 잡히지 않으나, 댓글을 작성한 이들의 나이·성별 비중으로 비교하면 남성이 다수였으며 나이대별로는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댓글 비중: 20대 22%, 30대 33%, 40대 26%, 50대 18% / 남성 77%, 여성 23%)
 

네이버 화면 캡처(17일 09시 기준). 뉴스1 <文대통령 "암호화폐, 부처 조율 전 공개 바람직하지 않아"> 16일 보도.

 

2만 5천 여개에 이른 공감을 받은 이유는 가상화폐와 관련된 일련의 정책 엇박자 속에 체감한 분노와 불만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상화폐 투자와 관련돼 직접적인 손실을 입은 사람들의 반감이 커진 점과, 이외에도 정부의 최근 정책 행보에서 실망스러움을 느낀 이들이 다수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법무부 장관 ‘가상화폐 거래소 폐지’ 관련 발언에 청와대가 반나절 만에 “확정된 것이 없다”는 보도 이후, 가상화폐의 가격은 급격히 변동했다. 17일에도 가상화폐 가격은 전날 대비 20%~40% 폭락했다. 여전히 '언제 다시 뒤바뀔지' 등의 불안한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도 풀이된다.

정부의 설익은 정책 언급에 따라 큰 손실을 입었음에도 정부가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기보다는 떠넘기기나 꼬리자르기식의 행태를 보이는 것에 대한 실망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부인이 보도됐을 당시 “법무부 장관이 독박쓰네. 뒤로 쏙 빠진다”는 의견이 추천14547개/비추천7928개를 받았다. 또한 “(말바꾸기)국민이 우스워보이나. 하루도 안돼 뒤집는게 무슨 정책이고 그럴거면 왜 실행하나? 능력도 원칙도 없다”는 댓글도 추천12645개/비추천6493개를 받았다. 지지자들 중에서도 투기가 활성화되는 상황에 대해 대처해야 한다는 명분은 인정하지만서도, 한편으로는 이러한 심각한 엇박자에 대해서는 이해가 안 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관련 보도: 연합뉴스 <청와대 “가상화폐 거래소 폐지 朴법무 발언, 확정 아니다”>(1월 11일 보도)

같은 날, <가상화폐 규제 반대>한다는 청와대 청원에 참여한 인원이 20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청원에 참여한 20만 명이 정부의 발표에 반감을 내비친 것이다.

한편, 개인 또한 가상화폐에 빠지기보다는 건전한 노력이 합당한 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노력이 먼저라는 지적도 나온다. 또한 서로 다른 의견을 지녀 상호 간 인신공격성 댓글도 많은 것에 대해서는 건전한 비판으로 나아가야한다며 자중의 목소리 또한 제기됐다. 

가상화폐 뿐만 아니라 이번 한주는 정부에 부정적인 인터넷 여론이 다수 존재했다. 최저임금, 유치원 영어교육 금지발언 번복, 출산장려금, 평창올림픽 관련 내용 등에서 비판 여론이 부각됐다. 같은날 <교육부 “‘유치원 영어교육 금지’ 혼란, 이유 막론하고 죄송”>이라는 보도에서는 정부에 대한 반감이 나타났다. "자신들 자식은 유학보내면서..."는 (추천9597개/비추천 1944개), “무능하다”는 (추천 8066개 / 비추천 2167개)를 받았다.

여타 전화 여론조사에서 70%의 지지율을 유지한다고 알려졌던 문 대통령이 인터넷 여론에서 강한 파고에 부딪힌 만큼 향후 정부의 대처가 주목된다.

 

이세영 기자 lsy215@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