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 김정은과 관여 확대하려는 서울에 강경노선 취해”
“北비핵화 입장차로 한미동맹 균열, 북한과 중국 환영할 것”
전문가들 “韓美 긴장상태는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

영국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즈(FT)는 22일(현지시간) “북한 비핵화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방법상의 차이로 인해 70년 된 한미동맹이 위험에 빠졌다”며 “전문가들은 앞으로 두 동맹 간 긴장상태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한다”고 전했다.

FT는 이날 ‘북한에 관한 미국과 한국의 차이가 70년 동맹을 위험에 빠트리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정은과의 관여를 확대하려는 서울의 시도에 워싱턴이 강경노선을 취하고 있다”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미동맹에 균열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FT는 “지난 몇 달 동안 오래된 동맹인 한국과 미국은 북한에 대해 취할 중요한 다음 단계를 두고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막후에서 외교적 결투를 벌여왔다”고 밝혔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로부터 유리된 은둔정권(북한)에 대한 제재를 완화하자는 한국의 잠정적 제안을 ‘그들은 우리의 허락 없이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신랄한 비난으로 차버렸을 때 미묘한 (한미동맹 간 분열의) 움직임이 세상에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한국인들에게 미국에 의존해온 한국의 역사를 고통스럽게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며 “그러나 그것은 두 민주주의 국가가 평양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또한 그들의 70년 동맹을 해치는 위험을 감수할지에 대해 신속히 합의에 도달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유익한 경고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열수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을 인용해 “북한 비핵화에 관해 세 개의 국가들이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할지에 관해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그리고 이것이 한국과 미국의 동맹에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고 했다.

신문은 한미동맹의 원인으로 역사적인 지난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을 들었다.

FT는 “미국과 북한은 관계를 재정립하고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일하기로 합의했지만 평양의 입장에서 미북관계의 재정립은 전 세계의 대북제재를 중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북한의 관영매체들은 끊임없이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서울의 입장에서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은 남북 경협을 시작하는 출발탄이었다”며 “남북경협은 긴장이 끊이지 않는 한반도의 평화를 장려하기 위해 관여정책을 사용하고자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야심을 더욱 충족시키는 일이기도 하다”고 했다. 이어 “그동안 미국은 대북제재의 엄격한 이행을 통해 경제적 고립에 처한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도록 시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방법상의 차이가 두 동맹 간 긴장상태를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했다.

FT는 “전문가들은 앞으로 한국과 미국 간 긴장상태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우려한다”며 지난 8월 미국이 주도한 유엔군사령부는 서울의 남북 철도·도로 연결 사업을 막은 것과 이달 미 재무부는 ‘통일’을 주제로 금융상품을 출시한 한국의 주요 은행들에 대북사업에 관여하지 말라는 경고를 내린 것을 그 예로 들었다. 또한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17일 “우리는 물론 문재인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것은 알다. 하지만 나는 남북대화는 비핵화와 연결돼야 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한국은 미국과 목소리를 일치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신문은 부시 정부에서 아시아담당 수석 고문을 지낸 데니스 윌더를 인용해 “북한에 관한 워싱턴과 서울의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에 한미 간 입장 차이를 피할 수 없다”며 “한국은 한반도에서 긴장완화를 원하며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그러나 윌더 전 고문에 따르면 워싱턴은 이러한 정책을 “시기상조”로 여긴다. 워싱턴의 정책입안자들은 올해 김정은을 협상 테이블 앞에 앉게 만든 중요한 요소인 워싱턴이 최대 압박 캠페인에 대한 전 세계의 지지를 얻어낸 것을 성공으로 보고 있으며 최근 김정은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속도를 내지 않는 것은 일부 국가들의 대북제재 완화 움직임 때문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FT는 “서울은 상황을 다르게 보고 있다”며 “한국의 일부 분석가들은 미국의 대북 강경책에 비판적”이라고 전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FT에 “워싱턴이 좀 더 유연할 필요가 있다”며 “만약 미국이 선 비핵화 후 제재 완화를 고수한다면 앞으로 발전에 대한 전망은 어둡다”고 말했다.

신문은 한미동맹 균열을 북한과 중국이 환영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FT는 “북한은 한미관계의 긴장상태를 매우 환영할 것”이라며 “북한은 오랫동안 한미동맹을 깨기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도 한미관계 균열을 환영할 것이다. 이 두 국가는 대북제재 완화를 추구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년에 중국은 국제 금융과 무역에서 평양을 고립시키기 위해 미국이 주도한 ‘최대 압박’ 캠페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 이후 미중 간 험악한 무역 전쟁 속에서 베이징은 유엔 제재를 위반하지 않고 북한에 대한 경제적 제재의 줄이려는 시도를 해왔다”고 전했다.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대사는 최근 베이징이 유엔 제재를 “충실하게” 이행할 것이라면서도 워싱턴은 북한을 다루데 있어 좀 더 유연한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대사는 폭스뉴스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공동으로 움직이고 보조를 맞추고 단계별로 접근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그를 향해 좀 더 우호적인 정책을 취할 것이라는 희망 없이 어떻게 북한이 모든 핵무기를 포기하도록 설득할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FT는 “그러나 워싱턴은 한국과 중국의 입장이 북한 비핵화에 대한 협상 능력을 약화시킬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양연희 기자 yeonhee@pennmike.com

 

US and South Korea’s divergence over North puts 70-year alliance at risk

Washington taking tough line over Seoul’s attempts to engage further with Kim Jong Un

Bryan Harris in Seoul, Demetri Sevastopulo in Washington and Emily Feng in Beijing

Please use the sharing tools found via the share button at the top or side of articles. Copying articles to share with others is a breach of FT.com T&Cs and Copyright Policy. Email licensing@ft.com to buy additional rights. Subscribers may share up to 10 or 20 articles per month using the gift article service.

For months the diplomatic duel between Seoul and Washington was played out behind closed doors as the two longstanding allies quietly diverged over the crucial next steps for dealing with North Korea.

Then the delicate manoeuvring came crashing into public view when US president Donald Trump shot down a tentative suggestion by South Korea to lift sanctions on the reclusive regime with a stinging rebuke: “They do nothing without our approval.”

For South Koreans, it was a painful reminder of the country’s historic reliance on US support. But it also served as a salutary notice that the two democratic nations need quickly to reach a consensus on how to proceed with Pyongyang or risk undermining their 70-year-old alliance.

“On the issue of North Korean denuclearisation, the three key countries have different ideas on what to do next and that is creating a crack in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said Kim Yeol-soo, a policy adviser at Seoul’s presidential Blue House.

The root of the issue stems from the landmark Singapore summit between Mr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in June when the then-bitter adversaries agreed to reset relations and work towards the denuclearis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Pyongyang, a reset in relations should entail the lifting of exacting international sanctions, a point that state media has raised repeatedly in recent weeks.

For Seoul, the Singapore summit was the starting pistol shot to begin economic integration with the North, fulfilling President Moon Jae-in’s broader ambition to use engagement to foster peace on the tension-prone peninsula.

The US, meanwhile, is attempting to maintain stringent sanctions on the North Korea regime in the hope that economic isolation will force it to abandon its arsenal of nuclear devices.

This divergence in methods has already sparked some tension between the allies and analysts fear more is the come. In August, the US-led United Nations Command blocked early attempts by Seoul to develop road and rail links with North Korea, a move that irked South Korean diplomats.

Please use the sharing tools found via the share button at the top or side of articles. Copying articles to share with others is a breach of FT.com T&Cs and Copyright Policy. Email licensing@ft.com to buy additional rights. Subscribers may share up to 10 or 20 articles per month using the gift article service.

Then this month the US Treasury Department warned a host of South Korean banks against doing business with the North after the lenders began rolling out unification-themed financial products.

“We are, of course, cognisant of the priority that President Moon and his administration have placed on improving South-North relations. I believe this inter-Korean dialogue must remain linked to denuclearisation, and South Korea sync’d with the United States,” Harry Harris, US ambassador to Seoul, said on Wednesday.

Other senior figures are known to be less diplomatic about Mr Moon’s engagement with Pyongyang. They view economic integration as tantamount to rewarding Mr Kim, a dictator who has yet to make any concrete moves toward denuclearisation.

However, the South Korean president can easily claim to be reducing tensions,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US officials to criticise him publicly. Mr Trump has also helped this argument by repeatedly pointing out that North Korea has not launched any missiles or conducted nuclear tests in almost a year.

Dennis Wilder, a former top White House Asia adviser, said divergence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was “inevitable” because their priorities for North Korea were different. He said South Korea wanted to reduce tensions on the peninsula, a view that is shared by China.

While South Korea promotes a more accommodating approach, Mr Wilder said Washington viewed that policy as “premature”.

“Washington policymakers see the success that Washington had in gain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maximum pressure campaign as a key factor in bringing Kim Jong Un to the negotiating table early this year,” said Mr Wilder.

“Washington worries that Kim's recent slowing of the negotiations with the US over denuclearisation is an indication that Kim is encouraged by the calls for some international easing of sanctions to be less flexible.”

Mr Kim, the Blue House adviser, stressed that Seoul saw things differently. “The Moon government seems to think improv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can catalyse the North’s denuclearisation. The US doesn’t think that way,” he said.

Other South Korean analysts are more critical of the US’s hardline approach to dealing with the North. Yang Moo-jin, an adviser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aid Washington needed to be more flexible.

“If it sticks to its way of ‘denuclearisation first and eased sanctions second’, the prospects for progress will be very dim,” said Yang Moo-jin, an adviser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lease use the sharing tools found via the share button at the top or side of articles. Copying articles to share with others is a breach of FT.com T&Cs and Copyright Policy. Email licensing@ft.com to buy additional rights. Subscribers may share up to 10 or 20 articles per month using the gift article service. More information can be found at https://www.ft.com/tour.

Any sign of tension within the US-South Korea relationship will be warmly welcomed by Pyongyang, which has long sought to break up the alliance. But it would also be welcomed by China, which alongside Russia, has pushed for sanctions relief for North Korea.

China last year played a vital role in the US-led “maximum pressure” campaign to isolate Pyongyang from international finance and trade.

However, since the Singapore summit and amid an increasingly acrimonious trade spat with Washington, Beijing has attempted to lessen the brunt of economic sanctions on its northern neighbour without contravening UN sanctions.

Cui Tiankai, the Chinese ambassador to the US, recently said Beijing would continue to implement the UN sanctions “faithfully” but said Washington should take a more flexible approach in terms of dealing with North Korea.

“To achieve or goal, we have to have a co-ordinated, phased, and step-by-step approach,” Mr Cui told Fox News. “How can you convince him [Kim] to give up all the nuclear weapons without any hope that the US would be following a more friendly policy towards him?

Washington worries that the South Korean and Chinese position will weaken its ability to negotiate on its own terms.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