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185%

한국 가계부채의 위험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상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한국의 가계·비영리단체의 순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85.9%에 달했다.

이는 가계 빚이 세금 등을 제외한 가계의 실제 처분가능한 소득보다 약 두 배나 많은 셈이며, 2016년 기준으로 OECD 33개국 중 7위에 달한다.

덴마크(285.8%), 노르웨이(229.3%) 등 북유럽 국가들은 우리나라보다 순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높지만, 세금이 높아 상대적으로 이 비율이 높게 나온다. 

우리나라 가계 순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의 비율은 2013년(160.2%)에서 2014년(162.9%), 2015년 (169.0%), 2016년(180.4%), 2017년(185.9%)까지 매년 늘어났다.

가계·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는 2008년(858조7000억원)에서 2017년(1687조3000억원)까지 총 96.4%가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순처분가능소득은 599조4000억원에서 907조7000억원으로 5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비영리단체의 금융부채 비율도 2016년 기준 95.4%로 OECD 국가 중 6위에 달했다. 2017년 수치가 발표된 18개 국가 중에서는 97.5%로 4위였다. 경제성장에 비해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가파르게 상승하는 가계부채는 향후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좀처럼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제출 자료에서 2011~2015년의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을 3.0~3.4%, 2016~2020년의 잠재성장률을 2.8~2.9%로 제시한 바 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