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는 11개월째 年1.50%로 동결...성장률·고용·투자 등 각종 국내 지표들의 악화로 금리 인상 또 미뤄
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3.0%에서 7월 2.9%로 낮춘 데 이어 2.7%까지 내려
올해 취업자 증가수 전망치도 기존 18만명에서 9만명으로 대폭 낮춰
설비투자 전망치는 1.2% 증가에서 -0.3%로 전환...건설투자도 -0.5%에서 -2.3%로
12월 美 금리 인상시 금리역전폭은 1%p로 확대...11월 금리 인상 불가피할 전망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연 2.7%로 내렸다. 한은은 올해 1월과 4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연 3.0%로 예상했지만 지난 7월 2.9%로 내린 데 이어 2.7%까지 낮췄다. 6년 만에 최저치다.

기준금리는 국내 경기 지표들이 부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11개월째 연 1.5%로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은 본부에서 이주열 총재 주재로 회의를 하고 기준금리를 연 1.50%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11월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래 올해 들어 7번째 동결 결정이다. 

이 총재는 뒤이어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을 2.7%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한은이 발표한 성장률 전망치 2.7%는 정부(기획재정부·2.9%), 한국개발연구원(KDI·2.9%), 국제통화기금(IMF·2.8%)보다 낮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의 전망대로라면 올해 한국 경제는 2012년(2.3%) 이후 최저 성장률을 기록한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2.7%로 제시했다. 

또 한미간 금리 차이가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이주열 총재는 연내 금리 인상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금융권에선 올해 10월이냐 11월이냐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지만, 한은은 성장률과 고용, 투자 등 각종 국내 지표들이 악화하고 있어 다음달로 미룬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지만 반도체 이외엔 성장동력이 꺼져간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지배적이며, 설비투자는 외환위기 이후 최장 기간인 6개월 연속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정부도 지난 12일 발표한 경기 진단 보고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회복세' 또는 '회복흐름'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정부는 지난달까지만해도 경기가 회복하고 있다는 낙관론을 폈지만 OECD, IMF,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내외 경제연구기관들이 줄줄이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대로 하향조정하면서 1년여 만에 낙관론을 거둬들였다.

경기 악화로 부정적인 지표들이 속출하고 있어 한은은 금리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와 한미 금리차 확대로 인한 외화유출 등을 우려해 다음달엔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12월 미국이 또다시 금리를 인상하게되면 한미 금리역전폭은 1%포인트로 크게 확대된다. 내외금리 차가 확대될수록 자본유출 압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어 최근 이 총재도 잇따라 금융안정을 강조하며 연내 인상 의지를 밝혀온 바 있다.

이날 한은은 '2018~2019년 경제전망'을 발표해 올해 취업자 증가수 전망치도 기존 18만명에서 9만명으로 대폭 낮췄다. 이는 올해초 전망치인 30만명과 비교해 3분의 1수준으로, 최근 '고용 참사'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고용 전망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국 경제를 강타한 2009년(-8만7000명) 이후 9년만에 최저치다. 내년 취업자 수도 지난 7월 전망(24만명)에 크게 못 미치는 16만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전년대비 0.3%, 2.3%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7월 전망에서는 설비투자가 1.2%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를 마이너스로 돌린 것이다. 건설투자 감소폭 전망도 기존 0.5%에서 2.3%로 부정적인 전망이 반영됐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 4월(705억달러), 7월(650달러), 흑자폭 전망이 축소됐지만 최근 수출 호조에 따라 700억달러로 전망됐다. 다만 한은은 내년 경상수지 흑자 폭이 620억달러 내외로 축소될 것으로 봤다.

소비자물가(1.6%)와 민간소비(2.7%)는 기존 전망치를 유지했다.

홍준표 기자 junpyo@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