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식품물가 상승 주원인 채소와 쌀"
文정부, 농업정책 실패 밥상물가 상승 견인

한국의 8월 식품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5위를 차지했다. 7월에 22위에서 한 달 만에 17계단이나 급상승한 것이다. 

9일 OECD에 따르면 지난 8월 한국의 식료품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같은 달보다 3.0% 상승했다. 이는 OECD 회원국 가운데 5번째로 높은 수치였고 OECD 평균인 1.5%와 비교하면 2배에 달한다.  

밥상물가가 오른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올들어 부쩍 비싸진 쌀과 겨울철 한파·여름철 폭염의 영향으로 물건을 구하기 어려워진 채소가 지목된다. 실제 올해 식품물가를 요동치게 했던 역대 주요 품목을 살펴보면 쌀과 감자·무·배추·시금치·고추춧가루 등 채소류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개별 국가마다 상황이 다르기에 국제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우리나라 식품물가가 최근 상승한 주 원인은 채소와 쌀"이라며 "식품물가는 계절과 기상상황을 많이 타곤 한다"고 설명했다. 

9월 식품물가도 OECD 최상위권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이 지난 5일 발표한 소비자물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 대비 1.9%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찍었고, 이 가운데 농산물은 12.0% 오름세를 기록하며 물가상승을 이끌었다. 

일각에서는 문재인정부의 농업정책 실패가 밥상물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재인정부가 쌀값을 올리겠다고 작년 9월 수확기에 사들인 햅쌀이 72만t(공공비축미 35만t+시장격리 37만t)이었고 시장 격리 물량은 역대 최대치였다.

20년 전 수준으로 하락한 쌀값을 올리겠다고 대대적인 쌀 수매를 골자로 한 수급안정대책을 시행했다가 쌀값 급등을 일으켰다. 결국 시장 격리 물량 중 일부를 되팔며 쌀값 급등세는 잡았지만 오른 가격을 낮추지는 못했다.

작년 쌀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 가뭄 등으로 전년 대비 6% 가까이 감소해 400만t을 밑돌았지만 문재인정부는 역대 최대 물량을 시장에서 격리하는 자충수를 뒀다.

윤희성 기자 uniflow84@pennmike.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저작권자 © 펜앤드마이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